서지주요정보
Analysis o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artistic network = 화가 간 네트워크의 진화 과정을 통한 미술사조 분석
서명 / 저자 Analysis o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artistic network = 화가 간 네트워크의 진화 과정을 통한 미술사조 분석 / Minseo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311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9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ost of the artists are labeled as a particular art movement. Artists shared a tendency or style of art and learned from one another, and some artists often broke away from the group when they felt confined to a certain style. The artists who strayed and utilized their creativity in different ways became the forerunner and ran in the leading packs of inspiration. They introduced a new style for young inspiring artists and pushed art toward the new style of art. In this way, art movement has evolved by repeating the process between divergence and convergence—two of the most significant aspects of cultural creativity. More importantly, the artistic network is formed an intricate web of connection through their own artistic style. The styles of each artist regarded as the main indicator in investigating an intrinsic attribute of the network. In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artistic style, collaboration and the communication of new ideas play an essential role, which can be captured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of artists’ relationships. Meanwhile, recent network studies have recognized that networks evolve over time, whereas in the past both graph theory and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tended to treat networks as static structures. The viewpoint aims to understand networks not just as topological objects, but also as the evolving dynamic structure. Hence, what is being recovered from network shapes that contains a past and future that of the network can explain the divergence or convergence of the network. This thesis thus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new models to mimic the evolvement of a network and to define the dynamics which ultimately allows us to identify the network’s main arteries of innovation flow. For this purpose, I especially focused on the concept of extrema evolution law and process-grammar by Leyton. The extrema evolution laws express any history of shape evolution in terms of the progressive changes of extrema along that history. Note that two fundamentally important factors—continuation and bifurcation—are the main indicators in network evolution. For the first step to this purpose, the thesis dealt with the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in each national Impressionism. The fact that Impressionism took different forms in different countries is a settled opinion in art history. However, an important open question still remains: Why were some countries quickly to appreciate the Impressionists than other? How has this happened? Where did the difference originate? Herein, this thesis addressed these questions by examin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network. In addition, this thesis dealt with Dansaekhwa and Abstract Expressionism that known as a spontaneous emergence. As a result, the thesis found that the evolution patterns of network can demonstrate and visualize the development of art movement. Throughout the holistic approach to art movements, this thesis thus analytically tracked the contribution of artists to the evolution of the network, exposed the dynamics that link structure and dynamic flow for intrinsic interpretation of network evolution.

본 논문은 공학적 방법론, 네트워크 분석, 기하학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미술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다학제적 연구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공학적 방법론의 도입을 통해 네트워크의 진화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기하학적 토대에 기반한 네트워크 형태 분석을 통해 미술사조의 생성 및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미술사조를 하나의 현상이자 공동의 기치를 기반으로 한 화가들의 네트워크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미술사조 분석을 해당 시기의 배경적 특수성에 귀속시키는 대신 보편성, 즉 네트워크가 생성 및 소멸되는 과정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개념의 전환을 통해 화가들의 네트워크를 정량적 분석 대상으로 재정의하였다. 또한 화가들의 작품이 곧 그들 간 교류의 매개이자 결과물임에 근거하여 화풍적 특성에 기반한 네트워크 공간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네트워크 분석이 가진 공간 표상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네트워크의 진화 패턴 분석을 통해 미술사조의 구조적 특성을 수치화하였으며, 각 화가들의 화풍적 특성을 네트워크 진화의 주요 요인인 다이내믹스로 간주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발전 양상을 직관적으로 분석 및 시각화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다양한 화가 간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방법론의 효용성 검증 및 범용화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화풍의 다양성이 화가들의 네트워크를 융성 및 쇠퇴시키는 중요한 척도임을 규명하였으며, 영국의 인상주의가 상대적으로 파급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한국 단색화 그룹과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진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화가들의 네트워크가 자생적 질서를 형성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파급 효과를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사조를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포괄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정량화 방법론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를 폭넓게 모색했다는 점에서 향후 그 활용 가능성이 기대되는 바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9004
형태사항 vii, 17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민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eounghoo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정훈
수록잡지명 : "Complementary Quantitative Approach to Unsolved Issues in Art History: Similarity of Visual Features in the Paintings of Vermeer and His Probable Mentors". LEONARDO, Vol. 52. No. 2, (2019)
Appendix : 1, The list of Dutch Artist in 17th-century. - 2, The list of French Impressionists. - 3, The list of American Impressionists. - 4, The list of British Impressionists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48-15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