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Role of the conditioned stimulus input to lateral amygdala in auditory fear memory retrieval = 청각 공포기억 회상에서 편도체로 전달되는 조건화 자극 전달회로의 역할 연구
서명 / 저자 Role of the conditioned stimulus input to lateral amygdala in auditory fear memory retrieval = 청각 공포기억 회상에서 편도체로 전달되는 조건화 자극 전달회로의 역할 연구 / Hyeonju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94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S 18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uring auditory fear conditioning, secondary auditory cortex(AuV) and auditory thalamus(MGm/PIN) convey conditioned stimulus to lateral amygdala(LA). Auditory pathways to LA are well-studied, and LA has important role to recall auditory fear memory. However, role of these pathways during memory retrieval is unknown. To verify necessity of these pathways, inhibiting terminal of auditory pathways in LA area was conducted by two third version of optogenetic techniques; Halorhodopsin(eNpHR3.0) and Archaerhodopsin(eArch3.0). As the result, auditory fear memory was recalled normally during inhibition with eNpHR3.0, while freezing level decrease by inhibition with eArch3.0 during tone release. Furthermore, at another retrieval session after 24-hours (second retrieval), memory retrieval was blocked also. Even mice are conducted re-training, impairment of memory retrieval didn't recover. This impairment is not an effect of cellular damage by virus or over-expression of proteins. According to result of Arch group, I infer that auditory input to LA is required for memory retrieval. For ensuring the state, recoding the activity of input terminal during memory retrieval is needed.

청각 공포를 학습할 때에 이차 청각 피질과 청각 시상에서 측면 편도체로 청각 정보가 전달되며, 해당 공포 기억의 회상에 있어 측면 편도체가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이 청각 정보 전달 회로가 기억의 회상에 필요한지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두 종류의 광유전학단백질을 사용하여 학습된 소리를 들려주며 회로의 축삭말단을 억제하였다. 그 결과, 염화 이온 펌프인 할로로돕신을 사용하여 억제하였을 때는 정상적으로 공포반응이 나타났으나, 양성자 펌프인 알케로돕신을 사용하였을 때는 공포반응이 억제되었다. 또한 하루 뒤에 학습된 소리를 들려주어도 기억 회상이 억제되어 나타났다. 이런 억제 현상은 재학습을 하여도 변하지 않았으며, 세포 손상에 의한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알케로돕신의 결과를 통해 기억의 회상에 청각 정보 전달 회로가 필요하다고 유추하였다. 이를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기억 회상이 억제되는 동안 회로의 축삭 말단에서 어떤 활성이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S 18003
형태사항 iii, 23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현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n-Hee H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한진희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20-2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