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ffects of perceived heterogeneity on social media use : a perspective of cognitive dissonance theory = 의견의 이질성이 소셜 미디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인지부조화 이론 관점에서
서명 / 저자 Effects of perceived heterogeneity on social media use : a perspective of cognitive dissonance theory = 의견의 이질성이 소셜 미디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인지부조화 이론 관점에서 / Myeongki Jeo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185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TM 18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ecently, the use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has often exposed users to opposite opinions. Thus, sometimes conflicts arise, which consequently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user’s behavior related to the use of social media. Nevertheless, prior research has not adequately studied the negative effects of exposure to heterogeneous opinions. Hence, the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of cognitive dissonance, and tri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mental discomfort the user would get when the user is faced with heterogeneous opinions. In addition,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kinds of strategic behaviors the users would need to take to resolve the uncomfortable psychological state. To do this, we adop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ology based on 240 questionnaire respons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ore often the users use social media, the more often they are exposed to opposite opinions and the more uncomfortable they feel. Moreover, in order to resolve these uncomfortable feelings, it appears that these users tend to take actions such as selective exposure and affective behavior.

오늘날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의견을 마주치게 될 때가 많다. 따라서 때로는 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할 때도 있고 결과적으로는 소셜 미디어의 사용과 관련된 사용자의 행동에 일정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자신과 상반되는 의견에 대한 노출로 야기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인지부조화 이론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상반되는 의견을 마주쳤을 때 얼마만큼 불편한 감정을 갖게 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의견을 접함으로써 갖게 되는 불편한 심리적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어떠한 전략적 행동을 취하는지에 대해서도 다루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0개의 설문조사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사용 정도가 많을수록 더욱 많은 다른 의견에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더욱 더 불편한 감정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이러한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택적 노출, 감정적 행동과 같은 전략을 취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TM 18004
형태사항 iii, 4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정명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36-4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