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alysis of fertility brhavior according to household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model = 한국가구의 소비·저축 및 근로·레저모형에 따른 출산행태 분석
서명 / 저자 Analysis of fertility brhavior according to household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model = 한국가구의 소비·저축 및 근로·레저모형에 따른 출산행태 분석 / Shin-Young Ro.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1988].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410525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MGS 88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ccompanying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and a half, there have been profound chang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the people. Traditional values about consumption-saving, work-leisure activities, children, extended family, married females' outside activities, etc. have been undergoing a period of transition. The nature and process of these socio-economic and cultural transition have widely been acknowledged as the factors underlying the declining fertility in Korea during the sixties and the first half of the seventies. The present study postulates that a family's perception of the value of children is reflected by its overall consumption and work vs. leisure activiti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are : (1)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family's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behavior pattern: (2) to analyze the value of children and other correlation of a family's fertility determinants within the context of the above behavior pattern: and (3)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elected and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behavior pattern of individual families and that between these behavior pattern and correlates of fertility. The result of data analyses conducted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with a varying degre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umption behavior in terms of the allocation of family budget among competing need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and causes a distinctive pattern of fertility behavior. The household which spends a greater proportion of family budget for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food and housing tends to have a greater number of children than the household which spends a smaller proportion of budget for the necessities of life. A case can be made that this finding is simply the result of income effect. Studies of Engel Curves show that the high income household tends to spend a smaller proportion of budget for food and other necessities of life than the low income household. Thus, above effect of consumption behavior on fertility may be interpreted as revealing a negative income effect of demand for children.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income, education, occupation, the place of residence(rural vs. urban) and female labor participation are all turn out to be influencing consumption behavior. On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consumption-fertility behavior relationship is that family decision is based on the family's relative utility derived from time-intensive vs. commodity-intensive consumption, the quality vs. quantity of children, future vs. present consumption, etc. This inference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ose who expressed preference for a son over a daughter for the reason of keeping family lineage tend to spend a greater proportion of budget for the necessities of life and tend to have a greater number of children.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ve amount of satisfaction (utility) which the family derives from the various market and non-market activities and the allocation of time between these activities? This study supports the hypotheses advanced here and sociological studies of family value formulation (process). Those factors are education (particularly wife's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 the place of residence (rural vs. urban), how often the household moves, etc.

지난 15년 동안 한국경제의 급격한 성장에 수반하여 국민의 사회문화적 인식 및 활동에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소비-저축, 근로-레저, 자녀, 대가족제도, 여성의 외부활동 등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은 변천을 겪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경제 및 문화적 변천의 본질과 과정은 60년대 및 70년대 전반부 기간중 한국에서 출산감소를 일으킨 요인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가구의 전반적인 소비 및 근로 대 레저 활동에 의해서 반영되었다고 가정한다. 연구의 목적은 (1) 가구의 소비 저축과 근로-레저 형태를 결정하는 요소를 식별 및 기술하고 (2) 이상의 형태와 관련시켜 자녀의 가치와 가구의 출산을 결정하는 다른 관련요소를 분석하고 (3) 개별가구의 소비-저축과 근로-레저 형태와 선정된 요소간과 이들 행태와 출산 관련요인간의 인과관계를 검정하는데 있다. 자료분석의 결과 여러 유의 수준에서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상충하는 요구간에 가구의 예산 할당에서 본 소비행태는 출산행태와 뚜렷이 관련되며 이를 유발한다. 주부식 . 주거 등과 같은 생활필수요소에 예산을 더 많이 소비하는 가구는 그렇지 않는 가구에 비해서 더 많은 수의 자녀를 갖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순히 소득효과의 결과라고 도 할 수 있다. 엥겔곡선의 연구는 고소득가구가 저소득층에 비하여 생활요소에 더 적은 비의 예산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출산에 대한 이상과 같은 소비행태의 영향은 자녀의 수요에 대한 부의 소득효과를 시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득 외에 교육, 직업, 거주장소 (농촌 대 도시), 여성 근로참가 등이 소비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상과 같은 소비, 출산행태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은 시간집약적 대 상품집약적 소비, 아동의 질 대 수, 미래 대 현재의 소비 등등으로 부터 유도된 가구의 상대적 효용에 기초하여 가구의 의사결정이 행해진다는 것이다. 대를 잇기 위해서 딸보다 아들 선호를 나타낸 가구가 생활필수요소에 더 많은 예산을 소비하며 더 많은 자녀를 가진다는 사실로 위와 같은 추론이 지지된다. 가구가 여러가지 시장 및 비시장 활동, 또 이들 활동간에 시간의 할당으로부터 얻는 상대적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가구의 가치형성 (과정)에 관해서 본 논문 및 사회학적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지지한다. 이들 요인에는 교육 (특히 여성의 교육수준), 직업, 거주장소 (농촌 대 도시), 이주율 등이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MGS 8803
형태사항 ix, 127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Includes appendix
저자명의 한글표기 : 노신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ng-Kyun R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노공균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125-127
주제 Leisure.
Consumption (Economics)
출생률.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레저 (레크레이션).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소비.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Fertility.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