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otty parity in public toilet using queueing theory: optimization of design and arrangement of public toilets = 대기행렬 이론을 이용한 공공화장실 설계 및 배치 최적화
서명 / 저자 Potty parity in public toilet using queueing theory: optimization of design and arrangement of public toilets = 대기행렬 이론을 이용한 공공화장실 설계 및 배치 최적화 / Heesang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29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T 15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01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MT 15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a public places like theater, restaurant, or stadium, it is commonly observed that there is a long waiting line in front of women’s toilets, compared to that in front of men’s toilets, which shows that women tend to have inconveniences in using toilets in public places than men. Thus, concerns on the revision of public toi-lets to be equally convenient and accessible to men and women have been growing in designing public toi-lets. In this paper, we aim to provide an objective guidelines to help how to allocate space and facilities to be equally convenient to men and women. Specifically, we use the queueing theory and analyze the waiting line behavior in front of public toilets and compare the likelihood of waiting for more than a minute for men and women. Our analysis shows that the current standard by Uniform Plumbing Code (UPC) is better than previ-ous codes in terms of providing equal chance of waiting in public toilets. However, we also identified that UPC still has some weaknesses. We thus suggested how UPC can be improved to make women’s waiting equally fair to men’s waiting in public toilets.

영화관, 경기장, 공항, 휴게소 등 집이 아닌 공공장소의 공공화장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남성 화장실의 대기행렬은 짧은 반면, 여성 화장실의 대기행렬이 매우 긴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경우에 따라, 반대의 경우도 일어난다.) 실제로, 미국에서 이러한 남녀 차별의 문제 해결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를 담은 1990년 초 ‘화장실 평등’(‘Potty Parity’)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게 된다. 이러한 요구를 담아 1993년 텍사스 주를 시작으로 미국의 여러 주에서 화장실 평등법을 제정하기 시작하였다. 국제 배관 및 자재 협회(IAPMO)와 국제 규정 협회(ICC)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배관 규정에서 공공화장실에 대한 규정을 포함시키고 있다. 이 규정들은 공공화장실 속한 위치에 따라 그리고 남녀에 따라 화장실의 변기 개수를 규정하고 있다. 미국의 각 주에서는 이러한 규정들을 채택하여 권고하고 있지만, 단순한 권고사항이기 때문에 법적 효력은 없는 상태이다. 게다가 이러한 규정들과 법안들이 정해진 기준이 모호하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들이 정한 규정이며, 실제 이 규정 및 법안들이 시행되었을 때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우리는 이러한 현 규정 및 법안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학적 방법론인 대기행렬이론을 이용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 규정 및 법안들을 적용하였을 때의 공공화장실의 대기행렬 상태를 확인하여 현 규정 및 법안들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2) 공공장소의 특징을 고려하여 남녀 공공화장실의 대기행렬 차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최적화된 배치 및 설계 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문제의 단순화를 위해 서울월드컵경기장 내 공공화장실을 기준으로 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 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배관 규정을 적용 시 남성에 비해 여성이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더 길며, 여성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배관 규정의 수정이 필요함을 증명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기반으로 정책입안자들이 공공화장실을 설계 시 윤리적으로 평등한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현재 공공화장실 관련 법안 및 규정들의 수정사항을 제안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실제 시민들의 생활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T 15016
형태사항 v, 4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희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un Soo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건수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