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From innovation to econovation : a study of new paradigm towards market oriented innovation system = 혁신에서 이코노베이션으로: 시장 지향 신 혁신시스템 패러다임 연구
서명 / 저자 From innovation to econovation : a study of new paradigm towards market oriented innovation system = 혁신에서 이코노베이션으로: 시장 지향 신 혁신시스템 패러다임 연구 / Choon-Ho O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81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3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t is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is the most critical component in innovation; however, the recent paradigm is changing concerned the market and, more broadly, business ecosystem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fine what newness is and how to achieve it. Therefore, the traditional innovation taxonomy is unrealistic to explain new models in the market. I try pattern new innovation types, including a new innovation model using a platform and business ecosystem model. Many areas where new ecosystems can be generated through platform improvement, adjustment, and fusion are emerging, and I also verified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pioneer a new ecosystem rather than to develop a new product or a new platform. It was verified that quickly releasing improved products in a new market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seeking to reduce costs and respond to governmental regulations. Moreover, I found it was most effective to venture into a new market when the goal is to more effectively reduce costs and respond to governmental regulations. This fact will provide some critical points when developing a modern innovation theory.

시장 지향 신 혁신 시스템 패러다임 연구 신 기술과 신 상품 개발은 혁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최근의 패러다임은 시장, 보다 광범위하게 보면 비즈니스 생태계의 변화화 혁신이 더욱 중요한 연구 테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혁신의 정의와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론을 찾기가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더욱이 전통적 이원론적 혁신 분류 체계는 시장과 생태계를 모델로 하는 신혁신 모형 연구에 부적절한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상품과 시장에 대한 논의에서 진전해 플랫폼과 생태계를 사용해 혁신 유형을 분류하고 새로운 혁신 체계를 모색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기술의 모듈화와 디지털화가 부상하면서 이들 기술의 교류와 융합 등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찾으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화와 네트워크화에 따른 제품의 변화를 플랫폼적 속성으로 이해하고 소비자들이 사장에 참여하는 등 지상의 속성 변화를 비즈니스 생태계의 속성 변화로 이해했다. 이러한 플랫폼의 속성과 생태계의 속성 등을 고려해 기업들의 제품 혁신을 9개의 형태로 구분하고 각종 형태에 맞는 혁신적 유형을 정리한 다음 각종 사례들을 찾아 정리했다. 특히 이 형태에서 밝혀지는 새로운 형태, 즉 기존의 제품으로 새로운 시장을 열거나 다른 업종으로 진화해가는 혁신을 이 연구에서는 수용형 혁신으로 부르기로 한다. 물론 이 수용형 혁신은 기업의 비용을 절감시키며 정부의 각종 규제에 적절히 대응하는 형태의 혁신으로 이해된다. 이런 개량 제품을 새로운 시장에 출시하는 형태의 수용형 혁신에 대한 실증 결과 기업들은 보다 성장성과 수익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신제품으로 새로운 시장을 만들려고 하는 창조형 혁신은 오히려 성장성과 수익성에서 음의 상관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의 추격형 경제에서 이런 형태의 혁신이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특히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로 가는 과정에서 기술과 시장중 하나의 선택지를 통해 보다 집중을 할 수있는 전략으로도 여겨진다. 이 연구는 따라서 새로운 혁신 체계에 대한 이해와 적용가능성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는데 보다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런 형태의 혁신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논의와 연구 및 조망이 더욱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3002
형태사항 iv, 10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오춘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Joo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원준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oon-Heung Chang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순흥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91-10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