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user-oriented design framework of narrative space for space-adaptive storytelling in wearabl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착용형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공간적응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서사 공간 디자인 프레임워크
서명 / 저자 (A) user-oriented design framework of narrative space for space-adaptive storytelling in wearabl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착용형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공간적응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서사 공간 디자인 프레임워크 / Jae-eun Shi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52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GCT 22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research proposes a user-oriented design framework of narrative space that enables space-adaptive storytelling for wearable Augmented Reality (AR) environments to provide consistently immersive user experiences anywhere, regardless of physical features specific to a space. For this purpose, it first presents two user studies investigating how traversability and visibility as factors of spatial affordance affect users playing Fragments, a space-adaptive AR detective game developed for the HoloLens, a Head Mounted Display (HMD), through the size, density, and layout of real indoor spaces. It further verifies commonalities found i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two studies by combining the experimental data (n=112) to compare how differences in affordance in terms of complexity impact narrative experience for five spatial structures in two contrasting size configurations. Based on the three-phase analysis, it establishes that moderate levels of traversability and visibility, met when a given space's complexity and size can offset negative effects of the other, are beneficial for narrative experience in wearable AR environments. Ultimately, it derives detailed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augmented narrative spaces in space-adaptive AR storytelling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system level to detect and compensate for the lack or excess of affordances in various real spaces and enhance user experiences therein.

본 연구는 착용형 증강현실 환경 기반의 공간적응적 서사 콘텐츠가 현실 공간의 형태와 무관하게 어디에서나 균등한 수준의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중심의 서사 공간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두 차례의 사용자 실험을 통해 횡단성과 가시성이라는 공간적 어포던스 요소를 기준으로 실내 공간의 크기, 밀도, 그리고 배치가 착용형 증강현실 디스플레이용 공간적응형 탐정 게임인 프래그먼츠의 서사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또한, 두 실험의 데이터 (n=112)를 통합해 복잡성 측면에서 상이한 공간적 어포던스를 갖는 다섯 가지 실내 공간 구조가 사용자의 서사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대조적 크기의 공간에서 비교함으로써 각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와 시사점의 공통된 경향성을 추가적으로 검증한다. 총 세 단계에 걸친 사용자 연구 및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복잡도와 크기의 상보적 조합을 통해 횡단성과 가시성이 적정 수준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착용형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서사 체험에 유리하다는 것을 밝힌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다양한 대상 현실 공간의 어포던스를 인식하고 이를 보완함으로써 사용자의 서사 체험을 개선하는 시스템 차원의 적응적 증강 서사 공간 디자인 원칙을 구체화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22004
형태사항 vi, 6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신재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ntack Wo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우운택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7-6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