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activ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SA) have been suggested to promote engagement of the public.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limited approach, putting viewers in the third-person view. To explore interactive PSA and its potential values, the paper takes the strategies of the serious game, which puts the user in the victim's point of view, by mapping the audience's body movement to that of virtual characters in PSA. Under the three scenarios of domestic child abuse, secondhand smoking, and animal cosmetic experiment, the paper designed embodied interactive PSAs in the context of in-front-of the display, where subtle, medium, and strong embodiment is applied. The developed PSA created based on the designer workshop and through iterations, examines the impact on the participant's cognitive and behavior change. The paper states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the PSA topic and its subject, human or non-human, on participant's empathic experience. The research examines the potential of subtle embodiment and suggestions on design considerations to increment the effect, especially empathy, of the embodied interactive PSA.
인터렉티브 공익 광고는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현 인터렉티브 광고들은 제 3자, 관찰자의 시점으로 관람자를 두는데 있어 공감을 불러 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있다. 인터렉티브 공익광고의 가능성과 가치를 탐구하기 위해 본 논문은 변화를 위한 게임의 1인칭 희생자의 관점을 적용하여 체험자의 신체 움직임을 가상 캐릭터에 매핑하였다. 아동 가정 학대, 간접 흡연 및 동물 화장품 실험의 시나리오에 따라 구현 된 인터렉티브 공익 광고는 디스플레이 앞 단에서 체험 할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임바디먼트의 정도를 세 단계로 구분하여 움직임에 반영하였다. 본 논문은 디자이너 워크샵과 반복된 수정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제작된 광고가 공감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또한 인터렉티브 공익광고 제작에 있어 주제에 대한 체험자의 경험도 및 등장 캐릭터에 따른 영향, 미세한 임바디먼트에 대한 가능성, 그리고 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바디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