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pace-adaptive artwork placement based on content similarities for curating thematic spaces in a virtual museum = 가상 박물관의 주제 공간 큐레이팅을 위한 콘텐츠 유사성에 기반한 공간 적응형 작품 배치
서명 / 저자 Space-adaptive artwork placement based on content similarities for curating thematic spaces in a virtual museum = 가상 박물관의 주제 공간 큐레이팅을 위한 콘텐츠 유사성에 기반한 공간 적응형 작품 배치 / Hay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248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GCT 24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Virtual Reality (VR) provides curators with the tools to design immersive 3D exhibition spaces. However, manually positioning artworks in VR is labor-intensive, and most existing automated methods are limited in considering both artwork cont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accommodating curators’ design preferenc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research presents a virtual exhibition author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optimized artwork placements for thematic space layouts, where exhibits are grouped by conceptual themes and arranged as clusters. Firs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matic space layout is examined with fundamental elements and design process, and from this, a systematic and computational approach is devised. Our approach clusters artworks based on five content similarity factors—color, material, description, artist, and production date—and allows curators to adjus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set limits on cluster sizes according to their design goals. A genetic optimization algorithm is employed to determine the placement of artworks, using four cost functions—intra-cluster distance, inter-cluster distance, intra-cluster intervisibility, and occupancy—to evaluate the arrangement with respect to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ree-phase research, it explores the opportunity of leveraging VR for curatorial planning by mapping desired themes adaptively to various exhibition spaces.

가상현실은 큐레이터들이 몰입형 3차원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가상현실에서 수작업으로 예술작품을 배치하는 것은 노동 집약적이며, 대부분의 기존 자동화된 방법은 작품의 콘텐츠와 전시 공간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데 제한이 있다. 또한, 큐레이터의 디자인 목표와 필요 요건을 수용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작품을 개념적 주제에 따라 그룹화하여 전시 공간에 군집으로 배치하는 주제 공간 레이아웃에 최적화된 배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가상 전시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주제 공간 레이아웃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기본 요소와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전산적인 접근법을 고안한다. 이에 따라, 이 시스템은 다섯 가지 콘텐츠 유사성 요소—색상, 재료, 설명, 작가, 제작 연도—를 기반으로 작품을 군집화하며, 큐레이터가 디자인 목표에 따라 각 요소의 중요성을 조절하고 군집 크기에 제한을 둘 수 있도록 한다. 그다음에 유전 최적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작품 배치를 결정하며, 군집 내 거리, 군집 간 거리, 군집 내 상호 가시성 및 점유도의 네 가지 비용 함수를 사용하여 배치의 공간적 특성을 평가한다. 이러한 세 단계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가상 공간에 원하는 전시 테마를 적응적으로 매핑함으로써 큐레이션을 위한 가상현실 활용의 기회를 탐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24005
형태사항 v, 63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하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ntack Wo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우운택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0-55
주제 Virtual museum
Artwork placement
Content similarity
Space adaptivity
hematic space layout
가상 박물관
작품 배치
콘텐츠 유사성
공간적응성
주제 공간 레이아웃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