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proposes Space Bubble, a visual aid that helps relocation of artworks by visualizing the visitor data. Space Bubble is leveraged to visualize the area that artworks need to avoid the hindrance or visitor position concentration. Visitor data includes viewing time and ratings of artworks that infer the popularity and importance of the artworks in exhibitions. Visitor data are parameterized formulating Space Bubble. Visitor position concentration and mean viewing time of artworks are compared between Pre- and Post-Visitor Data Applied Exhibition for the system evaluation. The study confirms that, by relocating artworks with visitor data, the proposed system alleviates the visitor position concentration without effect on viewing time and engagement.
전시 전체 평균 관람 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작품의 재배치를 통해 관람객의 위치 편중을 완화하는 인터페이스 제안하였다. “Space Bubble”이라는 시각 보조장치를 도입하여 가상현실 환경에서 작품이 전시 공간에서 확보해야 하는 영역 시각화하였다. 이에 관람객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관람객의 작품의 선호도 (Artwork Rating)와 해당 작품 감상에 관람 시간(Viewing Time) 파라미터화하여 영역 시각화에 반영하였 다. Pre- vs. Post-Visitor Data Applied Exhibition 사이의 관람객 위치 편중도과 전시 평균 관람 시간를 통한 시스템 평가하였다. Pre-와 Post- 사이의 유의한 관람객 편중 분산 차이 확인, 전시 평균 관람 시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관람객의 작품별 평균 관람 시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관람객 위치 편중 완화 여부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