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Making waste acceptable and invisible : the COVID-19 pandemic and material politics of plastic waste in South Korea = 허용하되 보이지 않게 하기 : 코로나19 팬데믹이 만든 한국의 플라스틱 폐기물 물질 정치
서명 / 저자 Making waste acceptable and invisible : the COVID-19 pandemic and material politics of plastic waste in South Korea = 허용하되 보이지 않게 하기 : 코로나19 팬데믹이 만든 한국의 플라스틱 폐기물 물질 정치 / Hyunah Keu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04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STP 22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outh Korea has lived with the accumulation of plastic wastes, but the problems remained mostly dormant before 2018. Disposable plastics are often fashioned into life-saving devices for use in the short term, but their wastes are life-threatening over longer stretches of time. The COVID-19 pandemic provides a key moment in which the seeming contradictory nature of plastic needs closer investigation. This study complicates the flat narrative that plastic waste has simply increased during the pandemic, focusing instead on which types of plastic waste have been increased and treated by whom, where, and why. Building on document analysis of newspapers, statistical data, and documents produced by government agencies, I collected empirical data in field visits and interviews to document how the COVID-19 pandemic changes the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 of plastic waste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government’s political aspiration to reinforce the narrative of “K-response (K-bangyeok)” rests on the disposable materiality of plastic. Thereby, I argue that plastic waste has not just increased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ut also has been mobilized and treated in a reciprocal relationship whereby the government both allowed discard of disposable plastics and invisibilized the infrastructure to treat those wastes. The longstanding accumulation of plastic waste problems compounded by material politic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contributes to a bigger, global slow disaster underway.

플라스틱 폐기물은 오래도록 누적되어왔지만 2018년 이전까지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대체로 문제가 되지 않았다. 일부 일회용 플라스틱은 단기적으로는 생명을 구하는 물질이 되지만 한 번 사용 후 버려진 플라스틱은 장기간에 걸쳐 생명을 위협한다. 이러한 플라스틱의 모순된 특성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잘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재난을 거치며 한국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이 증가했음을 보이는 것을 넘어, 어떤 플라스틱 폐기물이 누구에 의해, 어디서, 왜 증가하였고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것에 집중한다. 신문 기사, 통계 자료, 정부기관이 생산한 보고서 등의 문헌 분석과 더불어 현장 답사와 인터뷰를 살펴봄으로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정치적, 문화적 의미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기록한다. 이 과정에서“K-방역”서사를 강화하고자 하는 한국 정부의 정치적 열망이 플라스틱이 가진 일회용이라는 물질성과 관계 맺는 방식을 밝혀 낸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이 동원되고 처리되는 과정이 한국 정부가 일회용 플라스틱을 허용하되 그로 인한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는 보이지 않게 하는 관계 속에서 이뤄졌음을 주장한다. 이는 오랜 시간 누적되어온 한국의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코로나19 팬데믹 재난 상황에서의 플라스틱 물질 정치로 인해 복잡해졌으며, 더 나아가 전지구적인 느린 재난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22001
형태사항 iii, 10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금현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cott Gabriel Knowles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스캇 게이브리얼 놀스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88-10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