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omparative cancer risk assessment of radionuclides and hazardous material in support of mixed waste disposal = "혼합"폐기물 처분을 위한 방사성핵종 및 유해물질의 암 발생 위험도 비교평가
서명 / 저자 Comparative cancer risk assessment of radionuclides and hazardous material in support of mixed waste disposal = "혼합"폐기물 처분을 위한 방사성핵종 및 유해물질의 암 발생 위험도 비교평가 / Puteri Nuraliah Husna Binti Mohd Tajuddi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86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NQE 22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e 1980s, the United States began assessing the risk associated with the disposal of assessment mixed wastes, which are hazardous materials that have become radioactively contaminated. The majority of mixed waste generated by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is considered low-level waste. Even though the volume of mixed waste generated is small, the toxicity of the hazardous chemical portion of the waste can remain well beyond the period that the radioactive portion is considered dangerous to the public. Hazardous waste treatment prior to disposal is commonly performed but can be very costly because of the small volumes and specific needs of the mixed wastes generated. This research assessed the cumulative health risk, radiological plus hazardous chemical risk, of mixed waste disposal without treatment of the hazardous portion of the waste and determined the maximum allowable concentration of each contaminant by using the generic guidelines. Given that low-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are designed to contain the waste for 300 years, this assess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untreated hazardous portion of mixed waste would be sufficiently isolated to protect humans and the environment. Currently available software and models for risk assessment evaluate only one of the wastes, either radioactive or chemically hazardous without assessing the combined effect of radioactive and hazardous chemical waste. In this research, a new simplified model was developed to assess the risk of the contaminants released from the disposal facility into the groundwater over a 1000-year period. The U.S. Idaho National Laboratory’s GWSCREEN model was used as a reference to develop a new simplified model.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risk of radioactive components contributes to the total risk of mixed waste mostly for over 100 years, and the hazardous components contributes to the total mixed waste after 100 years, proving that hazardous chemical waste also contributes to the total cancer risk. Besides that, the generic guideline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maximum allowable concentration in the facility. It uses generic analysis and inventory limit as a method to assess the mixed waste. The concentration ratio is needed to do the inventory limit.

1980년대에 미국은 방사능에 오염된 위험 물질인 혼합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된 위해도를 평가하기 시작했다. 상업용 원전에서 발생하는 혼합폐기물의 대다수는 저준위 폐기물로 간주된다. 혼합 폐기물의 발생량은 적지만 방사능 위해도 부분이 방사능 붕괴에 의해 일반인에게 위험하지 않은 수준에 도달한다고 해고 유해 부분의 독성이 유지될 수 있다. 유해 폐기물 처리는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처분 전에 수행되지만 생성된 혼합 폐기물의 부피가 작고 특정 필요성으로 인해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의 유해 부분을 처리하지 않은 혼합 폐기물 처리로 인한 누적 건강위해도(방사능+화학적 독성)를 평가하고, 허용 가능한 위해도 기준에 근거하여 각 오염물의 최대 허용 농도를 평가하였다. 본 평가는 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이 폐기물을 300년간 격리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고려하여 혼합폐기물의 처리되지 않은 유해부분이 인간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충분히 격리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검토이기도 하다. 위해도 평가 시에 현재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모델은 방사성 폐기물 또는 화학적 독성 폐기물 을 각각 별도로 평가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1000년 동안 처리시설에서 지하수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방사성 특성과 화학적 독성에 의한 인체 위해도를 함께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단순화된 모델이 개발됐다. 이때 미국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에서 개발한 지하수 오염물질 거동분석 모델인 GWSCREEN이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방사성위험이 100년 내 기간 중의 혼합폐기물의 주된 위해도에 기여하고, 학학적 유해성은 100년 후 전체 혼합폐기물의 위해도에 주로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화학적 유해물질도 혼합폐기물의 전체 암발생 위해도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그 밖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 내 최대 허용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일반지침을 제시되었는데 이는 혼합폐기물의 처분장 재고 한도 (inventory limit)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NQE 22009
형태사항 viii, 8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빈티 모하마드 티주딘 푸테리 누라리아 후스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ansung Y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만성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71-7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