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pp- and feature-level smartphone interventions to reduce time spent in mobile social media applications = 모바일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능 단위 스마트폰 개입
서명 / 저자 App- and feature-level smartphone interventions to reduce time spent in mobile social media applications = 모바일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능 단위 스마트폰 개입 / Adiba Orzikulova.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84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EE 2209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any built-in and third-party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people reduce their time spent on mobile social media applications. These tools allow them to track their usage time and set limits for the target social media application. Nevertheless, one social media application might provide different functionalities (e.g., contacting friends, uploading images or videos, watching the news from joined groups) that the user goes through during the app usage. Despite growing research in intervention design to self-regulate social media use and fine-grained usage analysis,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iveness of app(coarse-grained) and feature(fine-grained) level smartphone intervention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pp- and feature-level smartphone interventions in this work.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our intervention design, we conducted a field study with 61 participants over 16 days after dividing them into the app- and feature-level intervention groups. Our intervention design consists of three phases: baseline collection, self-reflection, and restricted usage. The results showed that restrictive interventions assisted in reducing social media use for both groups, while self-reflection alone was ineffective. Moreover, the app-level group benefited more from self-reflection than the feature-level counterpart.

모바일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시간을 줄이기 위한 많은 기본앱 및 타사 도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도구들은 애플리케이션 전체 사용 시간을 추적하고 사용시간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예: 친구에게 연락하기, 이미지 또는 비디오 업로드, 가입한 그룹의 뉴스 보기)은 점차 세분화 되고있다. 소셜 미디어 사용을 자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개입 설계 및 세분화된 사용 분석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앱(전체) 및 기능(세부)단위의 스마트폰 개입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논문에서 앱 및 기능 단위의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사용시간 개입을 설계하고 구현했다. 스마트폰 개입 설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전체 혹은 기능단위 두 그룹으로 나눠 16일 동안 61명의 참가자와 연구를 수행했다. 우리가 설계한 소셜 미디어 사용시간 개입 프로그램은 평소 사용량 데이터 수집, 자기 성찰, 사용시간 제한 세 단계로 구성된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자기성찰 개입 단계에서 사용시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시간 제한 개입 단계에서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간의 차이는 앱(전체)그룹의 사용시간 제한 개입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EE 22095
형태사항 iv, 1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아르지콜로바 아디바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ng-Ju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성주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15-1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