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Relationship between urba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rmal condition through urban block analysis = 도시블록 분석을 통한 도시 물리적 특성과 도시 열적 환경과의 관계
서명 / 저자 Relationship between urba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rmal condition through urban block analysis = 도시블록 분석을 통한 도시 물리적 특성과 도시 열적 환경과의 관계 / Uyyoon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72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CE 22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ue to the abnormal climate, it seems difficult to predict and inconvenient to live in. As part of implementing the Paris Convention, a project is underway to remodel the existing city by adjust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ity, such as the Green New Deal, a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outh Korea. The main interests of these projects are urban thermal environment adjustment and carb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control. Additionally, heat waves and heat island often occur, pointing out the need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blocks and the therm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urban block adjustment along with the analysis of existing urban areas. This study selected Geumjeong-gu and Haeundae-gu as research area, which are expected to have the largest temperature difference even in Busan, where summer temperatures are expected to be the highest by 2100 among metropolitan cities. After dividing the target site into 100m grid-type blocks, the types of city blocks were classified using K-means,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were constructed in units of grid-type blocks using PRISM and Psychometric Chart. THI was used to evaluate the thermal environment of each grid-shaped block. The degree of inclusion of urban typ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made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comfort index by urban block type was different. Using this study, it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thermal factors in urban areas can be analyzed or presented as an evaluation index to be used for urban remodeling projects.

이상기후로 인해 사람들이 경험하는 기후 환경이 예측이 어렵고 때로는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파리협약을 이행하는 것의 일환으로 한국 환경부의 그린 뉴딜 정책과 같이 도시의 환경적 요소들을 조정하여 기존 도시를 리모델링 하는 사업을 진행되고 있다. 이런 사업의 주 관심은 도시의 열적 환경 조정과 탄소 및 온실가스 배출량 조절이다. 실제로 폭염과 열선 현상이 종종 일어나 도시의 열적 환경을 개선할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블록 단위의 물리적 특성과 열적 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도시 지역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도시 블록 조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광역시 중 향후 2100년까지 여름철 온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부산지역 내에서도 온도차이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금정구와 해운대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했다. 대상지를 100m 격자형 블록으로 구분한 뒤 K-means를 활용하여 도시 블록의 유형을 구분하고, PRISM과 Psychrometric Chart를 활용하여 격자형 블록 단위로 기온과 습도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각 격자형 블록의 열적 환경 평가에는 THI를 활용하였다. 행정구역별 도시 유형의 함유된 정도로 대상지인 두 행정구의 지역 특징을 구분 가능 하였으며, 도시 블록 유형별 불쾌지수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활용해 도시 지역의 물리적 요소와 열적 요소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거나 도시 리모델링 사업에 활용될 평가 지표로 제시될 수 있기를 함의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22001
형태사항 viii, 10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의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ch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철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96-9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