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ree essays on firm innovation and innovation policy = 기업의 혁신 활동과 혁신 정책에 관한 세 편의 소론
서명 / 저자 Three essays on firm innovation and innovation policy = 기업의 혁신 활동과 혁신 정책에 관한 세 편의 소론 / Jin-Uk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71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MT 22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479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MT 22001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hree essays on firm innovation and innovation policy. The first essay, in chapter 2, examines the effect of firms’ basic research on their R&D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is essay focuses on the conditioning role of firm-level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in the effect. Using detailed data on patents, scientific publications, and financial information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is essay finds that firm-level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positively condi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research and R&D productivity. In particular, unrelate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rather than relate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has a positive condition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Moreover, the positive conditioning effect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is more pronounced for firms operating in high-tech industries and in less competitive industr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a broad technological knowledge base across unrelated technological fields is helpful or necessary for firms to better utilize basic research for enhancing their R&D productivity. The second essay, in chapter 3, examines whether there exists a quality difference between government-funded and privately-funded patents. Furthermore, to the extent that there is a quality difference, this essay investigates under what conditions such a difference is particularly more pronounced. Using detailed data on public R&D subsidies and patent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is essay obtains the following three main results. First, for the pooled sample of patents, there exists a quality difference between government-funded and privately-funded patents. Overall, the quality of government-funded patents is higher than that of privately-funded ones. Second, within-firm quality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funded and privately-funded patents are evident only for large firms but not for small ones. Third, within-firm quality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funded and privately-funded patents are evident for firms with a large technological knowledge base that perform more exploratory, rather than exploitative, R&D projects with public R&D subsidies. The findings suggest empirical evidence that supports the validity of public R&D subsidies as a policy instrument to encourage firms to produce high-quality patents. Moreover,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policymakers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pplicant firms’ technological knowledge base when they select recipient firms for public R&D subsidies. The third essay, in chapter 4, examines whether public R&D subsidies for firms generate positive or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innovation outputs of their rival firms in the same industry. Using detailed data on public R&D subsidie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is essay finds that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differ substantially depending on the types of government-supported R&D projects and rival firms’ size and age. Specifically, for subsidies for research projects, the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rival firms’ innovation outputs outweigh the negative indirect effects. In contrast, for subsidies for development projects, the negative indirect effects dominate the positive indirect effects. Moreover, the negative indirect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are more pronounced for small and medium-sized or young rival firms, while the positive indirect effects are observed for large or old rival firm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D subsidies in promoting private firms’ innovation outputs, both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need to consider the indirect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본 박사학위 논문은 기업의 혁신 활동과 혁신 정책에 관한 세 편의 소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소론은 기업의 기초연구 활동이 기업의 R&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 다각화가 기업의 기초 연구와 R&D 생산성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한국 제조기업의 특허, 논문 및 재무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기업의 기술 다각화 수준은 기초 연구와 R&D 생산성의 관계를 양의 방향으로 조절했다. 특히, 기술 다각화의 양의 조절 효과는 비관련 기술 다각화의 경우가 관련 기술 다각화의 경우보다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기술 다각화의 양의 조절 효과는 고기술 산업이나 경쟁의 정도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들이 기초 연구의 결과를 R&D 생산성 향상을 위해 더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성이 낮은 기술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기술 지식 기반을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 소론은 기업이 정부의 R&D 보조금을 받아서 만든 특허와 해당 기업이 민간 자금을 이용해 만든 특허 간에 질적인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두 종류의 특허 간 질적 차이가 어떤 조건하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에 주목한다. 한국 제조기업의 정부 R&D 보조금 및 특허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전체 특허 단위의 샘플에서는 기업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만든 특허와 민간 자금을 이용해 만든 특허 사이에 질적 차이가 존재했다. 전반적으로 기업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만든 특허는 그렇지 않은 특허보다 질적으로 우수했다. 둘째,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만든 특허와 민간 자금을 이용해 만든 특허 간의 기업 내 질적 차이는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만든 특허와 민간 자금을 이용해 만든 특허 간의 기업 내 질적 차이는 기술 지식 기반이 큰 기업이 공공 R&D 보조금을 이용해 탐색적 (Exploratory) 성격의 R&D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R&D 보조금이 기업이 질적으로 우수한 특허를 만들도록 유인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R&D 보조금을 받을 기업들을 선별 시, 기업들의 기술 지식 기반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세 번째 소론은 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보조금이 동종 산업에 속한 경쟁 기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간접 효과의 방향성을 분석한다. 한국 제조기업의 정부 R&D 보조금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는 정부 R&D 보조금의 간접 효과가 정부의 지원을 받은 R&D 프로젝트의 유형과 기업 규모 및 업력과 같은 경쟁 기업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 연구 과제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경우, 경쟁 기업의 혁신 성과에 대한 양의 간접 효과가 음의 간접 효과보다 더 두드러짐을 발견했다. 반면에, 개발 과제에 대한 보조금의 경우, 음의 간접 효과가 양의 간접 효과보다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정부 R&D 보조금의 음의 간접 효과는 경쟁 기업이 중소기업 혹은 업력이 짧은 경우에 더 두드러진 반면, 경쟁 기업이 대기업 혹은 업력이 오래된 경우, 정부 R&D 보조금의 양의 간접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R&D 보조금이 기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와 정책 입안자 모두 정부 R&D 보조금의 간접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MT 22001
형태사항 iv, 15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진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Ya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창양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131-14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