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isruptive activities of interactive artwork =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의 관객의 전복적 행동 연구
서명 / 저자 Disruptive activities of interactive artwork =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의 관객의 전복적 행동 연구 / Je-ho O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52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GCT 22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revious studies on interactive artwork have focused on technical issues or visualization, where audience members were mediators of the interactive artwork through passive activities, rather than creators of the interactive contents via active tasks. This paper defined disruptive activities of interactive artwork to expand interactive aesthetic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rough disruptive activities, audience members could perform to achieve their own objective and purpose to become the subject in the interactive artwork. Disruptive activiti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ability to reflect the audiences’ behavior with regard to their intention for society, culture, and artworks. Disruptive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ruptive aesthetics according to activity theory, activism based on disrupted cultural heritage, and unintended activities by audiences in the Punctum. This study produced interactive artwork, deBallution, based on cultural heritage by applying the factors of the disruptive activities. The study then conducted three tests to evaluate the three factors of disruptive activities through audience participation. In conclusion, disruptive activities by audience members expanded the artistic experience in the interactive artwork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This paper found the new realms of audience activities through the disruptive activities in viewpoint of subject and role of the interactive artwork. Through this research, artists and researchers could produce and study interactive artwork based on the disruptive activities by audience members to expand the aesthetics of interactive artwork beyond technical issues or visualization.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 관객들의 행동은 중요한 요소이나 대부분의 기본 연구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인스톨레이션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관객들은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콘텐츠의 창조자가 아닌 중재자에 머물렀다.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 관객들의 전복적인 행동은 관객들의 주체적인 행동과 참여를 통한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전복 행동의 정의는 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전복 미학과 컬쳐럴 헤리티지를 전복하는 액티비즘, 그리고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 아티스트의 의도를 전복할 수 있는 롤랑 바르트의 푼크툼 적용으로 세분화했다. 컬쳐럴 헤리티지를 바탕으로 한 인터랙티브 아트웍 디볼루션 프로젝트를 창작하면서 이러한 관객들의 전복적인 행동들의 세가지 속성에 대해서 실험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 전복적인 행동이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 관객들의 예술적 경험과 가치를 발견하고 그에 대해서 논의 했다. 그것은 앞서 제안했던 관객들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공동 창작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요소들이었다. 앞으로 인터랙티브 아트웍을 제작하거나, 연구할 때 이러한 관객들의 전복적인 행동의 발견은 관객들의 참여와 미적 의미 뿐만 아니라 아트웍의 새로운 미학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22001
형태사항 iv, 73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오제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ng-kon Sh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시정곤
수록잡지명 : "A framework for interactive artwork based on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artistic value in the artwork ‘deBallution’ prototypes". Digital Creativity, Vol 32, Issue 4, pp. 275-292 (2021)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62-6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