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effects of types of knowledge on the performance of fault diagnosis = 진단 수행도에 대한 지식형태의 효용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The) effects of types of knowledge on the performance of fault diagnosis = 진단 수행도에 대한 지식형태의 효용에 관한 연구 / Dong-Han Ha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522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E 95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449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E 95021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 respect to the effectiveness of types of knowledge on human diagnost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several experiments claimed that training with diagnostic rules (procedural knowledge) is more effective than training that provides theoretical knowledge (principle knowledge). However, We usually have the idea that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system dynamics is necessary for diagnosis in some situation. In this study, we pointed out some problems in the previous experiments that force to reinterpret their experimental conclusions. According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reinvestigate the value of theoretical knowledge in two problem situations. A simulator system, which is named DLD, that is to diagnose an electronic device was created for this purpose. It is a context-free digital logic circuit which includes forty-one gates of three basic types. Our experiment investigated the marginal effects of theoretical knowledge over common diagnostic rul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in theoretical knowledge is dependent on the complexity of diagnostic situations. This adds up an experimental evidence against the presumed ineffectiveness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forward reasoning in fault diagnosis. Furthermore, the result suggests the source of the use of theoretical knowledge.

진단 수행도에 대한 지식 형태의 효용에 관해서 기존의 여러 실험적 결과들은 절차적 지식 (Diagnostic rules 혹은 procedural knowledge) 을 가르치는 것이 이론적 지식 (Theoretical knowledge 혹은 principle knowledge)을 가르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렇지만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는 시스템의 이론적 지식을 알고있는 것이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는 자연스로운 생각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러한 실험들의 방법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들이 내린 결과에 대해서 다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리고 우리는 두가지 구별되는 상황에서의 이론적 지식의 효용을 다시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DLD라고 이름 붙여진 시뮬레이터가 제작되었다. 이 시뮬레이터는 전자 회로를 진단하는 것이며 대상 시스템은 기본적인 3가지 형태 (AND/OR/EXCLISIVE-NOR gate)를 지닌 41개의 게이트로 구성된 전자회로이다. 실험은 절차적 지식에 더한 이론적 지식의 여분의 효용을 (The marginal effects) 조사하는 것이었다. 실험의 결과는 이런 이론적 지식의 효용이 존재했고 이 효용은 진단 상황의 복잡도에 의존함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종래의 진단 분야에서 알려져 왔던 이론적 지식과 순향 추론 (Forward reasoning) 이 효용이 없다는 생각에 반대되는 증거가 되는것이다. 아울러, 이 결과는 이론적 지식의 근원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E 95021
형태사항 iii, 82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함동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an-Chul Yo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윤완철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78-82
주제 Performance.
Knowledge representation (Information theory)
진단. --과학기술응용시소러스
지식 표현. --과학기술응용시소러스
시뮬레이터. --과학기술응용시소러스
Diagnosis.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