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ffects of immunosuppressive agents on nuclear factor NF-kB activation in jurkat cells = Jurkat T 세포에서 면역 저해제들이 핵내 전사조절인자인 NF-kB 활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Effects of immunosuppressive agents on nuclear factor NF-kB activation in jurkat cells = Jurkat T 세포에서 면역 저해제들이 핵내 전사조절인자인 NF-kB 활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ung-Hyun Ha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513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LS 95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ffects of immunosuppressive agents on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NF-κB activation were investigated as an approach to elucidate the mechanisms of immunosuppression. Three copies of NF-κB binding site were inserted into test plasmid containing the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 gene. When Jurkat cells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the recombinant construct, NF-κB activation could be induced by a combination of PMA and PHA and inhibited by pyrrolidine dithiocarbamate as a well-known potent inhibitor. Based on the results,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2-acetylaminofluorene (AAF), 2-aminofluorene (A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 cychlophosphamide (CP) and aflatoxin B1 ($AFB_1$)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affect the NF-κB activation by both PHA and PMA. AF produced the most potent inhibition. Complete inhibition of NF-κB by AF appeared at concentration of 5 μM. The effect of AAF was also severe even if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AF was required to make the same inhibition as that of AF. About 25 μM of AAF reduced the NF-κB activity by 60% and 100 μM by 100% to the background level. TCDD also produced an inhibition but a little. CP and DMBA had no effect on NF-κB activation in mixed culture of transfected cells and primary rat hepatocytes as well as in the transfectants only. On the other hand, 100 μM; $AFB_1$ strongly inhibited the NF-κB activation in transfected cells cocultured with hepatocytes while direct treatment of $AFB_1$ had no effect on NF-κB activity in transfected cells in the absence of hepatocytes. Conclus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may be involved in the immunosuppression provoked by AAF, AF, TCDD (partially) and $AFB_1$ (cocultured with rat hepatocytes), whereas the immunosuppression of CP and DMBA in the presence of hepatocytes may not be mediated by the regulation of NF-κB activity.

면역독성기작을 밝히기 위한 시도로서, 면역기능을 저하시킨다고 알려진 물질들이 핵내 전사조절인자인 κB활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κB가 인지할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을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클로람페니콜 아세틸전이효소 (CAT) 유전자 앞에 삽입한후 이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사람 T 세포의 일종인 Jurkat세포에 도입시켜 κB활성정도에 따라 의존적으로 CAT활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κB활성 유도제인 PMA와 PHA를 동시에 처리했을때 CAT활성이 크게 증가하였고 억제제로 알려진 pyrrolidine dithiocarbamate (PDTC)를 처리하니 그 활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기작이 밝혀져있지 않은 면역 저해제인 2-acetylaminofluorene (AA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2-aminofluorene (AF),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 cychlophosphamide (CP), 그리고 aflatoxin $B_1$ $(AFB_1)$ 이 κB활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들중 AF가 가장 강한 억제 작용을 보였다. 5 μM 농도에서 AF는 κB활성을 완전히 억제시켰다. AAF도 강한 억제를 보였으나 AF보다는 약하여서 25 μM 농도에서 κB활성을 60% 감소시켰으며, 100 μM 농도에서는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완전히 저해시켰다. TCDD도 유효성있는 억제작용이 있었지만 그 억제된 정도가 미약하였다. CP, DMBA, $AFB_1$은 그 자체로 면역 억제 작용이 없고 간세포와 혼합 배양시 면역독성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이 세 가지 물질들은 Jurkat세포에서 뿐 아니라 랫드 간세포와 혼합배양시에서도 κB활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CP와 DMBA는 두 배양조건에서 κB활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고, $AFB_1$은 간세포와 혼합배양시에서만 κB활성을 크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AAF, AF, TCDD, $AFB_1$에 의해 일어나는 면역억제 현상이 κB 활성의 억제와 관련이 있고, CP 와 DMBA의 면역억제 작용은 κB 활성과 관련이 없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LS 95015
형태사항 viii, 66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한승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Hwan Y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규환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60-63
주제 Transcription factors.
Aflatoxins.
면역 억제.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전사 (유전)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아플라톡신.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Immunosuppression.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