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제조기업의 생산전략과 생산혁신활동의 상관관계 : 변화프로그램과 성과평가체계를 중심으로 = Manufacturing strategy and change programs of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서명 / 저자 한국제조기업의 생산전략과 생산혁신활동의 상관관계 : 변화프로그램과 성과평가체계를 중심으로 = Manufacturing strategy and change programs of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 김진섭.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5].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530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P 95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410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MP 95009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links between manufacturing strategy and change programs of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The nature of our analysis is more descriptive than normative or confirmatory. The first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strategy, manufacturing capability, change program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The second objective is to explore an empirical typology of manufacturing strategy, and change programs. This thesis has six hypotheses about manufacturing strategy, change program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which were measured empirically.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are as follows: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strategy and change programs of manufacturing firms turns out to be low. Hypotheses were partially supported. Flexibility as a strategic prio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novative change programs of manufacturing firms. There are two strategies of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which are quality strategy and balanced strategy. There are three types of change programs of manufacturing firms, that is, incremental change,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Incremental change group has represented low factor score to the change program demensions. Administrative innovation group depend on information system and business reengeering. Korean manufacturing firms seems to pursue process improvement by trying simultaneously incremental change in the process, managerial process improvement, and a little of innovative change. Performance variables that manufacturing firms use are not different along manufacturing strategies and change programs. We found, however, learning and improvement performance dimension is largely related to flexibility variables. Process innovation group marked high score for learning and improvement dimension. Further research with larger sample size and more elaborated research design is necessary to confirm and exte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조기업의 경쟁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우선순위의 의식이 명확하지 않았다. 즉 품질, 납기, 원가, 유연성의 네가지 경쟁차원에 대한 우선순위가 명확하지 않아 의사결정의 혼선을 초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것은 일반척도를 사용 측정할시 잘 나타나지 않는데 계층적 의사결정 기법(AHP)를 이용 측정하였기 때문에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산부문의 실무책임자나 경영혁신팀장을 대상으로 경쟁우선순위를 측정 한 결과 경쟁우선순위에 대한 일관성이 없어 의사결정시 혼선을 초래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낮은가격 위주로 경쟁하던 원가주도 전략군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품질만을 중시하는 품질전략집단과 원가, 납기, 품질, 유연성을 균형있게 중시하는 균형전략집단으로 생산전략집단이 분류되었다. 이 결과의 시사점은 경쟁의 차원이 가격에서 비가격으로 전환하였음을 의미하며, 경쟁우위를 점유하기 위해서 는 품질에 대한 중시도만으로는 부족하며, 가격, 품질, 납기, 유연성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래탑이론(sandcone theory) [32]을 적용하면 품질의 경우 모든 개선활동의 기초이며, 품질개선 활동을 바탕으로 납기, 유연성, 원가를 누진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품질전략집단의 경우 품질개선단계에 있는 전략집단으로 판단되며, 균형전략 집단의 경우 품질 개선활동을 바탕으로 납기, 유연성, 원가를 누진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계의 기업으로 판단된다. 셋째, 생산전략변수와 변화프로그램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Roth & Miller등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략변수 원가의 경우 점진적 변화프로그램(incremental change program)과 상관관계가 있고, 유연성의 경우 혁신적 변화프로그램과 관계가 있는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연구결과 원가의 경우 점진적 변화프로그램과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연성의 경우 생산공정 혁신과 같은 변화프로그램 변수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 다기능공 육성을 위한 인적교육프로그램 및 의식개혁 변수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의 시사점은 전략변수 유연성은 혁신적 변화프로그램과 관련이 있으며, 혁신적 변화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개발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유연성이 신제품 도입, 신공정도입등과 같은 시장의 질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활동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의 양적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물량 유연성과도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비지니스 리엔지니어링과 관련된 관리혁신 변수의 경우 납기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 결과 부분적으로 전략변수와 변화프로그램간의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생산부문의 전략적 지향과 변화프로그램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략적 지향과 변화프로그램간에 일관성이 없이 추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생산부문의 실현된 능력과 변화프로그램변수는 상당히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현된 능력 원가의 경우 전통적 QC 및 의식개혁 및 교육과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품질의 경우 전통적 QC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납기의 경우 점진적 변화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관리혁신, 동시적 제품설계등 시간(time)과 관련된 변수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유연성의 경우 의식개혁 및 교육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생산공정혁신이나 관리혁신과는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유연성에 능력이 있는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변화프로그램이 인적자원개발을 위주로 추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제품 도입이나 신공정도입등 시장의 질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변화프로그램보다 다기능공 육성, 작업자교육등의 인적자원개발 위주의 변화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왔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생산부문의 실현된 경쟁능력과 성과지표의 활용수준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특정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성과지표를 잘 활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생산부문의 능력 품질의 경우 품질비용과 관련된 재무적 지표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능, 가동율과 관련된 지표의 활용과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납기의 경우 재고회전율, 가동율 및 이용율, 생산소요시간, 납기시간 단축, 납기준수, 작업자 기술수준등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변화프로그램 유형을 분석한 결과 1) 혁신변수의 서술적 통계량 (생산혁신의 경우 3.034로 가장 낮음)이 매우 낮고, 2) 혁신활동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점진적 변화프로그램과 생산공정 혁신 변수간의 상관관계가 높아 점진적 변화프로그램과 동시에 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변화프로그램 집단은 관리혁신 위주로 변화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관리혁신 집단, 생산공정 혁신 및 관리혁신을 동시에 시행하고 있는 생산공정 혁신 및 관리혁신 집단, 생산공정 혁신, 생산시스템의 변화를 추구하나 혁신의 정도가 낮은 점진적 변화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변화프로그램 도입 후 업무개선성과는 생산공정/관리혁신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리혁신만을 추구하는 집단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의 시사점은 기존의 생산시스템에 대한 변화없이 정보시스템을 이용 관리혁신만을 시도 할 경우 혁신적 성과를 달성할 수 없음을 입증하고 있다. 업무개선 성과의 경우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않아 혁신활동의 성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혁신적 변화프로그램이 도입되어 개선하는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경쟁우선순위와 변화프로그램간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난 것과 일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성과지표의 활용도, 변화프로그램 도입 후 특정 성과지표에 대해 중시하게 된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전략집단에 따라 성과지표 활용수준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학습 및 개선지표 였으며, 특정능력과 특정성과지표의 활용 수준간에는 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 능력과 관련된 성과지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지표의 변화도의 경우 변화프로그램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성과평가체계의 변화없이 변화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P 95009
형태사항 v, 11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n-Seab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안병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ong-Hun Ah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정책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95-99
주제 Production planning.
Manufactures.
Manufacturing processes.
제조업.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생산 프로세스.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생산 관리.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Technological innovations.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