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Modeling of air pollution exposure at bus stop vi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 case study of Yeongdeungpo-gu = 공간회귀분석을 통한 버스정류장 대기오염노출 모델링: 영등포구 사례연구
서명 / 저자 Modeling of air pollution exposure at bus stop vi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 case study of Yeongdeungpo-gu = 공간회귀분석을 통한 버스정류장 대기오염노출 모델링: 영등포구 사례연구 / Chanho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32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21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bus stop is relatively long to stay in one place and is located near the road, so it is analyzed as a place that can be vulnerable to air pollution exposure. However, the sampling method and number limited by the spatial scale are pointed out as a limit to assess the exposure of air pollution in micro-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air pollution exposure intensity model that reflects the impact of vehicle emissions and passenger numbers on road links by small section near bus stops. In addition, as a part of efforts to prevent and reduce air pollution damage, we analyzed the ranking of stops that are vulnerable to air pollution and analyzed the hot spot.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exposure intensity of air pollution at bus stops in Yeongdeungpo-gu, where vehicle emissions are high and are expected to be vulnerable to air pollution exposure. Furthermore, the area with high average exposure intensity was defined as a hot spo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tation installation, and the average exposure intensity was classified as 3.57 times higher.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model was derived by grasping the influence on urban environmental factors (road network, traffic, and building environment), and a geographic weight regression model was implemented to control spatial heterogeneity and dependence. The understanding of urban environment deduced through this model is to consider the location of additional bus stops in the hot spot or to create additional urban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an be expected to be presented as an evaluation index of urban planning to prevent and minimize air pollution exposure near the stop.

버스정류장은 비교적 한곳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고 도로 인근에 위치함으로 대기오염 노출에 취약할 수 있는 장소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공간 스케일에 의해 제한된 샘플링 방식과 개수는 소규모 시설의 대기오염 노출을 평가하는데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스정류장 인근의 소 구간별 도로 링크에 차량 배출량과 승객 수에 대한 영향을 함께 반영한 대기오염 노출 강도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기오염 피해를 우선적으로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원으로 대기오염에 취약한 정류장 랭킹과 함께 우심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차량이동배출량이 높고 대기오염노출에 다소 취약할 것으로 예측된 영등포구의 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노출 강도를 보여준다. 더 나아가 정류장 설치 위치를 기반으로 평균 대비노출강도가 높은 지역을 우심지로 정의함에 따라, 평균노출강도가 3.57배 더 높은 곳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도시 환경적인 요소(도로 네트워크, 교통, 건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 본 모델의 유의성을 도출하였으며, 공간적 이절성과 의존성을 통제하기 위해 지리가중회귀분석 모델을 구현하였다. 본 모델을 통해 도출된 도시환경에 대한 이해는 우심지에 추가적인 버스정류장 설치위치를 고려하거나 또는 도시환경요소를 추가 조성하는데, 정류장인근의 대기오염노출을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도시계획의 평가 지표로 제시될 수 있기를 함의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21022
형태사항 vii, 97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찬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ch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철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90-9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