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rowdsourcing urban soundscape in Seoul using social media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서울의 도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서명 / 저자 Crowdsourcing urban soundscape in Seoul using social media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서울의 도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 Haneul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24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21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ue to increasing noise sources in cities, a pleasant acoustic environment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owever, traditional noise management focuses on decreasing the physical sound pressure level (dB) rather than considering the qualitative aspects of urban spaces. This approach has limitations in fulfilling sou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cently in Europe, acoustic environment plans are shifting their paradigm from noise reduction to ‘soundscape’ design. Soundscape can be an indicator that discovers physical and non-physical elements of sound,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urban areas based on human perception. Therefore, this thesis performs soundscape analysis perceived in urban spaces using social media Twitter. To do this, we established a soundscape taxonomy and classified soundscape types in the central and southeast neighborhoods of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human activity-related soundscape is dominant in the entire site, and the central district has a sensory-related soundscape compared to the southeast district. These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urban planning and soundscape design and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acoustic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features of urban areas.

도시의 소음원이 증가함에 따라, 쾌적한 음환경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의 소음 관리는 도시 공간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기 보다 물리적 음압 레벨(dB)의 저감에 중점을 두며, 이러한 방식은 음환경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최근 유럽의 음환경 계획은 소음 저감에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사운드스케이프는 인간의 인식과 반응을 기반으로, 소리의 물리적 요인, 비물리적 요인, 그리고 도시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트위터를 이용하여 도시 공간에서 인식되는 사운드스케이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사운드스케이프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 서울시 도심권과 동남권의 사운드스케이프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지 전체에서 인간 활동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가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남권에 비해 관광명소가 많은 도심권은 감각에 관련된 사운드스케이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운드스케이프가 도시 공간의 특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계획과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연계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음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21016
형태사항 v, 14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하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ch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철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33-13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