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탈 노동과 기본소득 사회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지형 연구 = (A) study on Koreans` perception of the post-labor and basic income society
서명 / 저자 탈 노동과 기본소득 사회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지형 연구 = (A) study on Koreans` perception of the post-labor and basic income society / 박정석.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11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21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Human beings have filled their daily lives by working for a long time in the past. Recently,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of high-tech technologies represen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s putting more effort into predicting the pessimistic future of 'Post-labor'. In other words, the formula for new industrial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mankind has experienced in history is no longer valid. Recently, basic income has been drawing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to this pessimistic view of the future. In Korea, presidential candidates began to draw political attention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referring to basic income as a policy pledge.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qualitative research on how the perception of Koreans who are subject to the post-labor society and the basic income system is formed. Accordingly, this study utilizes literature studies, surveys, SPSS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word clouds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tudy the Korean perception of post-labor and basic income society.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mmarize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present them as basic data for researchers after this study.

인류는 과거 오랜 역사 속에서부터 노동(일)을 하면서 일상을 채워왔다. 그러나 최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빅 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첨단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탈(奪) 노동(일자리 박탈)’이라는 비관론적 미래 예측에 힘을 싣고 있다. 즉, 지금까지 인류가 역사에서 경험한 기술 발달에 따른 신(新)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공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 이와 같은 비관론적 미래관의 대응방안으로서 기본소득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난 대선에서 주요 인사들이 정책 공약으로 기본소득을 언급하며 정치적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탈 노동 사회와 기본소득 제도의 대상이 되는 한국인의 인식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가에 대한 정성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SPSS 분석(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워드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탈 노동과 기본소득 제도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지형을 정량적·정성적으로 연구한다. 나아가, 해당 연구방법론으로 도출한 결과들을 정리해 본 연구 이후의 연구자들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21028
형태사항 iv, 3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eongSeok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서용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ngSeok Seo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33-3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