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건강정보에 대한 확증편향 및 교정정보제공의 효과 분석 = Confirmation bias in health information and its corrective evidence
서명 / 저자 건강정보에 대한 확증편향 및 교정정보제공의 효과 분석 = Confirmation bias in health information and its corrective evidence / 최유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05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2102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lthough the gravity of Misinformation has never been more eminent, prior research has limited the study of Misinformation to political messages. This study centers on health misinformation that poses a threat to public health and intimidation to democracy. We explored how people accept health misinformation, and who are susceptible to it, and the effect of corrective infor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nfirmation bia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N=192), and respondents agreed with the news contents, gave affirmative evaluations, and showed stronger intentions to spread it to others when their existing beliefs and contents of Misinformation are congruent. Furthermore, two methods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ve information based on the quality of evidence showed that weak evidence were more effective than strong evidence, contrary to existing studies. Finally, study explore how prior belief influence misinformation acceptance and corrective information effects according to individuals' literacy level, health involvement, and related knowledge levels. As a result, literacy level, health involvement and related knowledge do not significantly affect discerning Misinformation but related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affect to weak evidence corrective information.

가짜 뉴스에 대한 심각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아졌지만 선행 연구는 가짜 뉴스에 대한 연구를 정치적 메시지에 한정해서 진행해왔다. 본 연구는 공중 보건과 민주주의에 위협이 되는 건강 가짜 뉴스에 초점을 두었다. 건강 가짜 뉴스에 노출된 사람들이 어떻게 가짜 뉴스를 수용하는지, 누가 수용하는지, 그리고 교정정보의 효과가 있는지를 확증편향 이론에 근거하여 탐색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N=192)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기존에 형성된 자신의 신념과 가짜뉴스의 내용이 일치하였을 때 뉴스 내용에 동의하고, 신뢰하며, 타인에게 전파하고자 하는 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또한 교정정보의 효과를 주장의 품질을 다르게 제시하여 (약한주장vs.강한주장) 측정한 결과, 약한 주장의 교정정보가 강한 주장의 교정정보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리터러시, 건강관여도, 관련 지식 수준에 따라 사전태도가 가짜 뉴스 식별능력, 교정 정보의 효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리터러시, 건강 관여도, 관련 지식 수준에 관계 없이 사전 태도는 가짜 뉴스 식별 동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관련 지식 수준은 약한 주장 교정 정보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21023
형태사항 iii, 7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ou-Lee Cho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재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Suk Yang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정우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eong-Woo Jang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3-5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