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Global OTT의 발전과 Korean Wave 4.0 시대의 도래: K-Drama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global OTT and advent of Korean Wave 4.0 era: focusing on K-Drama
서명 / 저자 Global OTT의 발전과 Korean Wave 4.0 시대의 도래: K-Drama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global OTT and advent of Korean Wave 4.0 era: focusing on K-Drama / 이지원.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804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2101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global OTT development on Hallyu 4.0, focusing on K-Drama.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field officials who were producing K-Drama were referred to for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system. In addition, the cause of global acceptance was explored through text analysis of the Netflix original series “Sweet Home,” which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national phenomenon of K-Drama, and the status of K-Drama as a global genre was reviewed. Finally, we tried to extract the future image of K-Drama through the four alternative futures of Jim Dato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Netflix and K-Drama changed the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and the driving force for K-Drama's rise globally was the use of hybrid genres and emotional storytelling. The two factors mentioned above are playing a key role in the advancement of K-Drama into a global genre. It is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content competitiveness as a way for a sustainable Hallyu wave, and support for a quality writer system that can guarantee creativity is necessary.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volution of K-Drama in the era of Hallyu 4.0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allyu and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globalization.

본 연구는 글로벌 OTT의 발전이 한류 4.0에 미친 영향을 K-Drama를 중심으로 탐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을 기본으로 했으며 제작 시스템 분석을 위해 K-Drama를 제작하고 있는 현장 관계자들의 인터뷰를 참고했다. 또한 K-Drama의 초국적 현상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스위트홈」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글로벌 수용의 원인을 탐색했으며 글로벌 장르로서의 K-Drama 위상을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짐 데이터(Jim Dator)의 4가지 대안 미래를 통해 K-Drama의 미래 이미지 추출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넷플릭스와 K-Drama와의 협력은 드라마 제작환경을 변화시킨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K-Drama가 세계적으로 부상할 수 있는 원동력은 하이브리드 장르와 감성적 스토리텔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에 언급한 두 가지 요인은 K-Drama가 글로벌 장르화로 나아가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한류를 위한 방안으로 콘텐츠 경쟁력을 보강하는 것이 중요하며 창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양질의 작가시스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한류 4.0 시대의 K-Drama의 진화 양상을 학술적 관점으로 분석해 한류의 본질을 이해하고 세계화의 미래 방향성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21019
형태사항 viii, 8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Wo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서용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ngSeok Seo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0-8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