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sign and evaluation of context-aware distraction management systems = 상황 인식 기반 방해 관리 시스템 디자인 및 평가
서명 / 저자 Design and evaluation of context-aware distraction management systems = 상황 인식 기반 방해 관리 시스템 디자인 및 평가 / Inyeop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82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KSE 21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martphones are essential devices for modern people that provide necessary functions for daily life, channel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diverse Internet contents anytime and everywhere. However, due to high connectivity with users and accessibility, smartphones may interrupt users' ongoing activity with external interruptions in situations requiring concentration. In addition, habitual smartphone use can lead to problems such as over-immersion or over-use of smartphones. The OS system provides users with functions such as Do Not Disturb and Digital Wellbeing to manage smartphone distraction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user has to execute the function in contexts where concentration is required manually, and the function does not operate adaptively according to the user's contexts. Therefore, I aim to design and evaluate a context-based distraction management system.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I designed a system (Let's FOCUS) that restrained smartphone use based on the classroom location and performed user evaluation in the field. As a result, I confirmed that users could effectively regulate smartphone use and focus on the class without interruptions when providing the distraction management function based on location context. Further, I performed experience sampling (ESM)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in which users experience smartphone disturbances in their daily life and collected user-generated distraction management rules to understand users' preferred methods of handling smartphone distractions. This indicate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a personalized context-aware distraction management system. From this, I concluded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the user to program distraction management rules (i.e., End-user programming), and the system operates according to the rules rather than providing a predefined distraction management function. Also, I suggested a framework (Extended Trigger-Action Programming) to provide expressivity of the distraction management rule. In addition, I found the rules specified to not clear the situation requiring distraction management, and I concluded the system should support the expressivity of the rule and the user mental model to allow users to program rules without errors as desired. I derived guidelines for system design and developed the system (FocusAid), allowing users to program distraction management rules. Through three evaluations, including user field studies, I confirmed that users programmed rules that specify contexts where smartphone distraction management is required and how to handle distractions without difficulty and effectively manage distractions in their daily life.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I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text-aware distraction management systems.

스마트폰은 일상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과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를 제약 없이 제공하는 현대인의 필수 기기다. 하지만 사용에 대한 높은 접근성과 사용자와 연결성으로 인해 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 외부 알림으로 사용자 활동을 중단시키기도 한다. 또한, 습관적인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스마트폰 과몰입 혹은 과다 사용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기존 시스템은 스마트폰 방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사용 정보를 추적하고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디지털 웰빙이나 방해 금지 모드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해 관리를 위한 기능들은 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실행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기능이 잘 활용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중이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방해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황 인지 기반 방해 대응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상황 인지 기반 방해 관리 방법의 타당성 및 실현 가능성을 평가했다. 집중이 필요한 대표적인 환경인 수업 장소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사용 중재를 제공하는 시스템(Let’s FOCUS)을 개발하여 필드에서 사용자 평가를 수행했다. 그 결과, 장소 기반으로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방해 대응 기능을 제공했을 때 사용자들이 효과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하고 방해 없이 집중하는 데 도움을 받았음을 확인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일상생활 중에 경험하는 스마트폰 방해에 관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경험 표집법(ESM)을 수행하고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스마트폰 방해에 대응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정의 방해 관리 규칙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집중이 필요하다고 잘 알려진 상황(예: 수업, 공부)뿐만 아니라 휴식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방해를 경험하며 사용자마다 스마트폰 방해를 경험하는 상황과 스마트폰 방해 대응 방식도 사용자마다 상이함을 발견했다. 이는 개인화된 상황인지 기반 방해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미리 정의한 방해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방해 관리 규칙을 작성(Trigger-action programming)하고 그 규칙대로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식이 더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방해 관리 규칙의 표현성(Expressivity)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Extended trigger-action programming)를 제시했다. 또한, 방해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 불명확한 규칙들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오류 없이 명확하게 규칙을 작성(Mental model)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결과들을 기반으로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고 사용자가 방해 관리 방식을 정의할 수 있는 FocusAid 시스템을 개발했다. 필드 스터디를 포함한 총 세 번의 사용자 평가를 통해 FocusAid의 사용자 경험을 연구하였다. 전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방해 관리가 필요한 상황과 방해 대응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을 어려움 없이 작성했으며 일상생활 중에서 효과적으로 방해 관리를 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상황 인지 기반 방해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KSE 21005
형태사항 v, 11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인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Uichi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의진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01-11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