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ecological wisdom for space planning: in the cas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 생태학적 지식 기반 공간 계획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전통정원 사례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The)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ecological wisdom for space planning: in the cas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 생태학적 지식 기반 공간 계획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전통정원 사례를 중심으로 / Deedee Aram Mi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54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21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 the increase of awareness toward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are coming up with ideas to support sustainable planning or restoration engineering. While the idea of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has long existed since the 1960s and the 70s, it is now in our human history where we have reached the limit of damaging the ecosystem further. In response, the concept of ecological wisdom was first proposed in 2014 in the field of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One of the tasks to advance ecological wisdom as a domain and a practical methodology is to explore how wisdom can be acquired and applied in practice.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by integrating the knowledge cycle of an organization for the externalization of ecological wisdom. Then, supported by the theoretical framework, a methodological framework that acquires and applies ecological wisdom is proposed. To illustrate the methodology, cases of Korean vernacular gardens of the Joseon Dynasty renowned for being designed through ecological geomancy are used. Thirty three cases of Korean gar dens are selected for the analysis in relation to 22 environmental data. Each case was spatially deconstructed into garden components and their spatial relations. Then, statically significant pairs of spatial data and environmental data were identified, an d the patterns were analyzed. From the recurring patterns, design rules were formulated for its integration into a space planning support system. The system is implemented and demonstrated through a design scenario. To evaluate the system, in depth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ree aspects: the validity of the chosen cases, the practicality of the design rules derived from the pattern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Then, think aloud tests were proceeded for system usability. While t here are many improvements to be made in terms of the usability of the system, there are two significant findings. First is that there are design patterns applicable as ecological wisdom from Korean vernacular gardens. The climatic factors and the topographical factors were the most related compared to the geological and vegetation factors. Of the climatic factors, the average lowest temperature had the highest count of relations, which coincides with the Korean climate characteristics of having harsh winters in the past. Of the topographical factors, the slope range had the highest count reflecting the mountainou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irst significant finding leads to the second finding; ecological wisdom can be made actionable and practical in the form of precautionary principles. This was verified by implementing a space planning support system. The proposed space planning support system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a community building interactive planning platform accessible by diverse planners encouraging social interaction and eventually enlarging the database for ecological wisdom, a key to ecological practice during this era of global climate change.

자연환경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각종 분야의 전문가는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는 생태학적 디자인을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 중이다. 사실, 생태학적 계획과 설계 방법은 1960년대와 70년대부터 시작해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으나 최근 연구 동향에 따르면 이제는 각별한 신경을 쓰지 않으면 자연환경을 이전 모습으로 되돌릴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생태학적 지혜(Ecological Wisdom)라는 개념을 2014년에 조경 및 도시 계획 분야에서 처음 제안하였다. 생태학적 지혜 개념을 연구 분야 및 실용적 방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혜 획득 방법과 재사용 방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과연 생태학적 지혜라는 것이 표출화(Externalization)가 가능한지, 표출화가 되면 어떤 형태의 정보로 표출이 되는지, 그리고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활용해야하는지 등의 연구 문제가 제의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식 순환 프로세스 모델(SECI Model)을 응용하여 생태학적 지혜를 사례로 부터 얻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생태학적 지혜의 acquisition과 application에 중점을 둔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방법론적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태학적 풍수지리(Ecological Geomancy)를 응용한 조선시대 민간정원을 사례로 활용한다. 문헌조사에 따라 22개의 자연요소를 선정하여 한국정원 33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사례는 공간적 정원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간의 공간적 관계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정원 구성요소와 유의미한 패턴이 보여지는 환경요소를 식별하였다. 반복되는 패턴으로부터, 디자인 규칙을 만들어내었고, 이에 기반을 두고 공간 계획 지원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디자인 시나리오를 통해 시연되었으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사례선정의 타당성, 도출된 디자인 규칙의 현실성, 시스템의 적용성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사용성을 위한 think-aloud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시스템 사용성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지만, 본 연구를 통해 두 가지 주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정원에는 생태학적 지혜로 활용 가능한 디자인 패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특히 기후요인과 지형요인은 지질요인과 식생요인에 비해 공간 구성요소와 가장 많은 관련성을 보였다. 기후 요인 중 평균 최저기온이 가장 높은 관계수를 보였으며 이는 과거 혹독한 겨울의 한국 기후 특성과 일치한다. 또한, 지형적 요인 중에는 경사도 차이가 가장 높은 관계성을 보였는데 이는 한반도의 산지 지형적 특성이 공간 구성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수치적으로 입증한다. 둘째, 생태학적 지혜는 사전 예방 원칙의 형태로 실용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공간 계획 지원 시스템을 구현하고,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함으로써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방법론적 프레임워크,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구현된 공간 계획 지원 시스템은 추후에 도시계획가 혹은 디자이너 등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 상호 작용을 장려하고 궁극적으로 커뮤니티 빌딩 플랫폼으로 개발 될 잠재력이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21004
형태사항 vi, 10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민아람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H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지현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 Jae Lee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원재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93-10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