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xplor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platforms: focus on promotion and phubbing behavior =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긍정 및 부정 효과들의 탐색: 촉진 및 퍼빙 행동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Explor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platforms: focus on promotion and phubbing behavior =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긍정 및 부정 효과들의 탐색: 촉진 및 퍼빙 행동을 중심으로 / Hanane Lasm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48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P 21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ocial media and smartphones have changed and continue to change significant aspects of our lives.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wo studies evidence that digital technology may influence human social life in both negative and positive ways. The first part of the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users' generated content (UGC) on the business performance evidence from two social media platforms widely used in the hospitality industry: Instagram and OpenTable. Using the data-driven approach, we provide scholars and practitioners a conceptual model that demonstrates all steps from data collection to data analysis to understand the latter. Additionally, we examine how UGC about business across two channels interact in a complex set of feedback loops known as “echo verse." Moreover, the study offers advice for managers in navigating this new complex media world. The dissertation displayed a methodological contribution using a series of data analysis techniques: sentiment analysis, text mining, fixed-effect, and panel-vector-autoregression. Technology is here to stay, but it is always morphing and expanding. As each new technology enters the scene, it has the potential to shape our relationships, personal lives, and sense of self. However, with the significant increasing smartphone use trends, this will erode social interaction and face to face communication in alarming ways. The phenomenon is known as Phubbing behavior, defined as ignoring his/her companion and paying only attention to his/her smartphone. The latter is predominant in the restaurant context, where an average restaurant will see 36 cases of phubbing per dinner session. Plenty of studies introduced addiction in all its forms, such as phone, social media, games, and the internet, to explain the phubbing behavior.However, some studies could not confirm common concerns that excessive screen time is linked to the latter. There is increasing consensus that research, public policies, and interventions need to focus on the user and not the extent of technology usage. The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phubbing behavior based on self-discrepancy, which may expand current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phone-snubbing and further validating a theoretical foundation. To conduct this research, we collect 409 valid responses through an on-line survey for two months, and we deployed partial least square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last chapter of the dissertation summarizes the findings of two studies and provides several valuable contributions for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은 우리의 삶을 크게 바꾸어왔고 현재까지도 계속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사회생활에 부정적인면과 긍정적인면 모두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두 가지 연구 증거를 다룬다. 첫 번째로, 접대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소셜 미디어 플랫폼 (Instagram, OpenTable) 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 (UGC)가 비즈니스 성과 증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그리고 데이터 중심 접근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집에서 데이터 분석까지 모든 단계를 보여주는 개념 모델을 제공하고, 두 플랫폼에 걸친 비즈니스에 관한 UGC가 복잡한 피드백 루프 집합, 일명 “echo verse” 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새로운 복잡한 미디어 세계를 항해하는 매니저들에게 유용한 조언을 제공해보려 한다.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감정 분석, 고정 효과, 패널-벡터-자동 회귀 분석 등의 데이터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방법론적 기여를 보였다. 기술이란 없어지지 않고 변화하며 확장되어 나가는 것이다. 여러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사람의 관계, 사생활 그리고 자아감각에 마저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과 대면을 통한 소통이 침식당할 수 있다. 이를 가리키듯이 옆 사람에게 무심해지고 스마트폰에만 신경을 쓰는 행위로 정의되는 “Phubbing” 이라는 단어가 존재한다. 식당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인데, 평균적으로 저녁 시간의 식당에서는 약 36건의 Phubbing을 목격할 수 있다고 한다. 많은 연구들이 Phubbing을 설명하기 위해 전화, 소셜 미디어, 게임, 인터넷과 등 과 관련된 여러 중독을 적용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이용이 이와 큰 연관이 있다는 일반적인 가설을 확증할 수 없었다. 연구와 공공정책, 타 개입 등이 기술 사용의 정도가 아니라 해당 기술의 유저에게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굳어지고 있는 추세다. 본 논문에선 자기 불일치를 바탕으로 하여 Phubbing을 조사할 것이고, 해당 연구를 통해 Phubbing에 대한 현재의 연구를 심화시키고 그 이론적 토대를 더욱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2개월을 걸쳐서 진행된 온라인 조사로 410개의 유효한 응답을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링(PLS-SEM)에 근거한 부분 최소 제곱을 배치하여 연구 모델을 시험하였다.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언급한 두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학술가와 전문가들에게 몇 가지 귀중한 기여를 제공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P 21004
형태사항 v, 8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라스미 하나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l Ho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철호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글로벌IT기술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67-8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