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xploration of future governance based on technology and foresight = 과학기술과 미래예측에 기반한 미래 거버넌스의 탐색
서명 / 저자 Exploration of future governance based on technology and foresight = 과학기술과 미래예측에 기반한 미래 거버넌스의 탐색 / Kyungmoo He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46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FS 21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By defining governance as a decision-making process in achieving organizational objective and a capacity (or power) of individual, organization, society, and government to achieve them, this study explores future governance based on technology and foresight. For this one integrated theme, this study follows the logical sequence of research and analysis - delving into ‘what governance is’, ‘rol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governance’, ‘what type of governance is applied in a human affairs including organizations and how’, ‘what types of instrument can help this new governance along with fundamental conditions’, and ‘what will be the future of governance’. It first studies governance ‘by’ technology and ‘of’ new technology-based organized system, namely the degree of centralization (or decentralization) of major blockchain systems through the lens of governance. Subsequently, governance of disaster management ‘with’ technology is explained by exploring roles and benefits of digital technologies in governance of 2019 coronavirus disease disaster management, healthcare containment and mitigation strategies. This study then shifts its focus to foresight in the domain futures by understanding governance and its capacity-building aspects. Specifically, it analyzes governance ‘in’ national foresight, a framework-based comparative country analysis (e.g. the U.K., South Korea, Finland, the Netherlands) to provide lessons learned for newcomers in the arena of a foresight-linked anticipatory governance. Lastly, this study concludes with governance ‘for’ foresight-based policymaking, how foresight integrates to policy agenda setting based on a single case study of the future conflict foresight project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cludes with a certain deduction that technolog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futures of governance; while new governance of the organized systems should center ‘human or people’ and their governing knowledge and capacity in the heart of its philosophy.

본 졸업논문은 거버넌스를 (1)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의사결정 프로세스(구조) 및 (2) 개인, 조직, 사회, 정부의 역량으로 정의함에 기반하여, 과학기술과 미래예측(foresight)에 기반한 미래 거버넌스를 탐색한다. 즉, 본 연구는 '거버넌스는 무엇인가', '조직 등 인간사회에 소개되는 새로운 거버넌스와 과학기술의 역할', '미래예측에 기반한 미래 거버넌스 도출에 밑바탕이 될 접근방법과 필수요소' 등과 같은 논리적이며 분석적 순서에 기반하며, 미래와 과학기술 그리고 거버넌스를 융합적으로 살펴보다. 먼저 과학기술 기반 거버넌스와 신기술 기반의 조직 시스템, 즉 거버넌스의 관점에 기반하여 주요 블록체인 시스템의 중앙집중화(또는 분산화) 정도를 연구한다. 또한,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시점에서 적용된 질병 억제·완화 전략을 포함하는 재난관리 거버넌스에서 디지털 기술의 역할과 이점을 탐구함으로써 재난관리 거버넌스를 설명한다. 이어서, 본 연구는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를 지배구조와 역량 구축 측면으로 전환함으로써, 미래적 관점에서 거버넌스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미래예견적 거버넌스 프레임 기반 국가 비교분석(예: 영국, 한국, 핀란드, 네덜란드)을 통해 상기 거버넌스를 도입하려는 신규 국가들에게 경험과 교훈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무조정실 ‘2020 미래 공공갈등 예상 분석 프로젝트’란 단일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국가정책 어젠다 설정에 미래예측이 어떻게 통합되고 미래예견적 정책 수립으로 도출되는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마무리한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과학기술이 미래 거버넌스에 효과적으로 융합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미래 거버넌스 철학 중심에는 대중을 포함한 참여자들의 미래예견적 지식과 역량이 위치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FS 21001
형태사항 v, 12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허경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ngseok Se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서용석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angyoon Yi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상윤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03-12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