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비모수적 꼬리 위험 추정을 이용한 KOSPI 200 위험 프리미아 분석 = Identification of the KOSPI 200 risk premia via non-parametric estimation of jump tail risk
서명 / 저자 비모수적 꼬리 위험 추정을 이용한 KOSPI 200 위험 프리미아 분석 = Identification of the KOSPI 200 risk premia via non-parametric estimation of jump tail risk / 홍정화.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40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E 21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593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E 21021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ail risk and its compensation have been considered as a separate type of problem from diffusive risk. From the dot-com bubble burst to the recent Covid-19 market crash, the series of tail events in history made a huge impact on the Korean stock market. Bollerselv and Todorov(2011) invented a non-parametric approach using high-frequency futures and shortest-maturity OTM option data to research the tail risk and its risk premia. This paper utilized this metho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ovid-19 crisis on the KOSPI 200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occurrence of the extreme tail events could explain a significant portion of equity and variance risk premium at the time. In addition, by using the jump tail structure and pricing, this study computes the KOSPI 200 Fear Index, which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investor’s fear over the market history. The estimation of the expected value of jump tails for each probability measure, P and Q, is based on Extreme Value Theory with highfrequency1-minute futures and daily shortest maturity OTM option data.

본고는 2002년 닷컴 버블부터 2020년 Covid-19으로 인한 주식시장의 점프 현상을 꼬리 위험과 그 보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에 Bollerslev and Todorov (2011)에서 제시된 극단값 이론(Extreme Value Theory)과 고빈도 데이터에 기반한 비모수적 추정 방법을 이용해 이와 같은 꼬리 사건들이 KOSPI 200 지수의 주식 및 분산 위험 프리미엄에 있어 많은 부분을 설명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점프 꼬리(Jump Tail)의 특별한 구조와 그 가격을 이용해, KOSPI 200 지수에 대한 투자자 공포 지수(Fear Index)를 산출하였다. 해당 지수는 투자자들이 느끼는 꼬리 사건에 대한 공포와 이에 시변하는 보상을 나타낸다. 실증 분석에 있어서 EVT에 기반한 점프 꼬리의 기대값 추정에는 P측도 하에서는 KOSPI 200 고빈도 선물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Q측도 하에서는 가장 짧은 만기의 외가격(Out-Of-the-Money) 옵션을 사용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E 21021
형태사항 iii, 27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eong-Hwa H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변석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k Joon Byu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