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메탄과 프로판 혼합에 따른 비예혼합 부상 화염의 부상 높이 변화 = Lift-off height of non-premixed lifted flames with methane and propane mixing
서명 / 저자 메탄과 프로판 혼합에 따른 비예혼합 부상 화염의 부상 높이 변화 = Lift-off height of non-premixed lifted flames with methane and propane mixing / 전동석.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32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2104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study of lifted non-premixed flames using methane, propane and their mixture was conducted through various fuel nozzles. Generally, lift-off height is proportional to the fuel jet velocity. However, in this study, the sudden decrease of lift-off height was found. To interpret this result, new concept of potential core which based on the laminar lifted flame stabilization mechanism and Reynolds number was introduced. After sudden decrease, the lift-off height increased again at Re ~ 2600. Only the lifted flame which has a larger lift-off height than the potential core height can be applied to the laminar lifted flame stabilization mechanis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fted flame is separated in three regions according to potential core and Re. 1) laminar region: Re < 1200, higher lift-off height than the potential core length, 2) transient region: Re < 2600, lower lift-off height than the potential core height, 3) turbulent region: Re > 2600. Also, the reattachment of lifted flame in transient region is interpreted by quenching distance of the premixed flame. In addition, in this region, the blowout occurred because of the instability of the flow field. Throughout this study, the lifted flame stabilization theory can be improved more detail.

다양한 내경의 연료관에서 메탄과 프로판, 그리고 그 둘의 혼합물을 연료로 사용하여 비예혼합 부상 화염의 높이를 측정했다. 일반적으로 화염의 부상 높이는 연료의 유속에 비례하여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상 높이가 특정 연료 유속에서 급격히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 기존의 수학적인 포텐셜 코어의 개념이 아닌, 층류 부상 화염의 속도 상사 해를 이용하여 새로운 층류 포텐셜 코어를 정의하고 연료관의 레이놀즈 수(Re)를 통해 결과를 분석했다. 공통적으로 Re ~ 2600 일 때 급격히 감소한 부상 높이가 다시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또한, 포텐셜 코어 위쪽에 위치한 화염만 기존의 층류 부상 화염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고 나머지 영역의 화염은 그렇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영역으로 부상 화염의 영역을 나누었다. 1) 층류 영역: Re < 1200, 층류 포텐셜 코어 길이보다 큰 부상 높이, 2) 천이 영역: Re < 2600, 층류 포텐셜 코어 길이보다 작은 부상 높이, 3) 난류 영역: Re > 2600, 난류 포텐셜 코어 길이보다 큰 부상 높이. 또한, 천이 영역에서 화염의 재부착을 예혼합 화염의 소염 거리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고, 화염 날림이 유동장 자체의 불안정성으로 발생했다고 추측했다. 본 연구를 통해 부상 화염의 안정화 이론 개발에 더욱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21042
형태사항 v, 44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ong Seok Je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남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Nam Il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1-4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