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ttention guidance technique using visual subliminal cues and its application on video environments = 시각적 역하 단서를 활용한 주의 유도 및 영상 환경 내 적용 방법론
서명 / 저자 Attention guidance technique using visual subliminal cues and its application on video environments = 시각적 역하 단서를 활용한 주의 유도 및 영상 환경 내 적용 방법론 / Eugene Hw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09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21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Human mind is constantly filtering out information to reduce the cognitive load, and this attention mechanism can take place independently from awareness. Even on subliminal levels, stimulus can influence the human attention mechanism, thus, influence the human behaviors such as eye movement. The unconscious shift of attention is a reflexive reaction triggered by subliminal cues, but its effect when applied in dynamic environments was unknown. This study presents a novel technique of application of subliminal cues within videos. Through the spatial cueing effect of subliminal stimuli which is shown through experiment 1, this technique incorporates a new approach in guiding ocular attention in a dynamic setting. Experiment 2 demonstrates the effect of subliminal cues in video contexts by using the subliminal cue display frequency to guide the viewer’s attention. The experiments demonstrate a new insight on application of subliminal cues in real-world scenes. Results show that cue effect is dependent on gender, with female participants showing a tendency to focus on the cued area while the male did not. Moreover, factors such as gaze orientation bias and video content had a strong impact on the overall gaze patterns.

인간의 정신은 인지 능력의 한계로 인해 끝없이 정보를 걸러내고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주의 메커니즘은 의식 하지 못하는 영역에서도 일어난다. 역치 이하(역하)의 수준에서도 시각적 자극은 인간의 주의 메커니즘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따라서 눈의 움직임과 같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무의식적인 주의의 이동은 역하 단서에 의해 촉발된 반사적 반응이지만, 영상과 같은 동적 환경에 적용될 때의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영상 시청 시 역하 단서를 결합한 새로운 주의 유도 기법을 제시하며 이의 효과를 행동 실험과 시선추적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는 개인별 역치에 맞춰진 역하 자극을 제공하여 역하 단서의 공간적 단서 효과를 증명하였다. 실험 2는 역하 단서의 영상 환경 내 응용 방법론으로, 영상 내 피사체와 자극의 독립적인 관계 내에서 역하 단서의 효과를 보았다. 영상 재생 중, 역하 단서를 제시하는 빈도를 조절하여 특정 위치 집중 경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역하 단서는 크게 시선을 유도하는 효과는 없었으나, 성별에 따라 단서 효과 차이가 생김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의 선천적 시선 편향성이 단서 효과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역하 단서를 영상과 같은 복잡도가 높은 환경에 적용시키는 경우, 개인의 성별, 시선 편향성과 같은 개인별 특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1013
형태사항 iii, 3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황유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eongmi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정미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6-3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