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시간 기반 영상 가상전시에서 사용자의 공간적 항행 지원을 위한 지도 인터페이스 디자인 = Designing a map interface for spatial navigation in time-based video virtual exhibition
서명 / 저자 시간 기반 영상 가상전시에서 사용자의 공간적 항행 지원을 위한 지도 인터페이스 디자인 = Designing a map interface for spatial navigation in time-based video virtual exhibition / 이채은.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705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21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rough the development of video and VR (Virtual Reality) technology, virtual exhibitions have provided visitors with the same sense of presence as visiting actual exhibitions. This allows people to experience exhibitions that they can not physically visit without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Video can convey a high sense of reality through the flow of time and space but has not been used as the media for spatial exploration because of its low degree of freedom in movement derived from its passive nature. In this study, to support visitors' spatial exploration a map interface for time-based video virtual exhibition was designed so that visitors can actively navigate in it rather than being passive observers.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face modification on the virtual exhibition experience of visitors, a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ap interface with the existing timeline interface prototypes with 24 participa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face that can both time and spatial navigation helped spatial recognition and led to an autonomous and satisfactory exhibition experience. Also, the possibility and utilization of video as an experiential medium were discussed.

영상이나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을 통해 가상 전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도 물리적으로 방문할 수 없는 전시 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람자에게 마치 실제 전시장 속에 있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해 왔다. 영상 매체는 시공간의 흐름을 통해 실제 전시장을 경험하는 듯한 높은 현장감을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매체 자체의 수동적인 특성상 다른 공간 재현 매체들에 비해 조작의 자유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공간적 탐색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오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매체가 가지는 시간 기반의 수동적 속성에서 벗어나 관람자가 능동적인 공간 탐색을 할 수 있도록 조작 범위를 넓힌 영상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여 영상을 공간적 탐색을 위한 매체로서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조작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며 사용자들의 자율적인 공간 탐색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도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했다. 이후 인터페이스의 변형이 관람객들의 가상 전시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24명을 대상으로 디자인된 인터페이스와 기존 영상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비교하는 스터디를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시간 및 공간적 조작이 모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율적으로 영상 가상 전시를 관람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전시 경험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체험적 매체로서 영상이 가지는 가능성과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21009
형태사항 vi, 66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Chaee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우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hun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0-6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