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취재원 익명 보도 관행 연구 = Research on anonymous reporting practices
서명 / 저자 취재원 익명 보도 관행 연구 = Research on anonymous reporting practices / 윤수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95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21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Various criticisms and alternatives have been raised over the credibility crisis in the pr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l name and anonymous reporting practices, which are important for objectivity, fairness, and balance, which are the core values ​​of journalism, and analyzes articles of five major domestic daily newspapers and surveys the perceptions of incumbent journalists. It sought practical alternatives in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factors, and realistic conditions. The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Hankyoreh Shinmun, and Kyunghyang Shinmun were analyzed for three days on weekdays in August and September in order to analyze the ratio of real names and anonymous citations. However, editorials and columns that reflect subjective opinions, and international pages where direct coverage is difficult are exclude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ratio of real and anonymous citations among all informents was 74% and 26%, respectively, and by field, the ratio of anonymous informents was the highest in the fields of economy, society, North Korea and unification. By informents, the percentage of anonymous citation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business circles, political part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and negative cases such as criticism and attack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al-name citation articles in the core content of anonymous citation artic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requency of non-subject passive indirect citation sentences, which have been criticized for confusion between facts and opinions and generalization of reporters or specific people's opinions, more than 5 cases per article appeared in the fields of politic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n particular, it showed a high frequency in breaking news from the prosecution. The content of the article containing the sentence reached 50.6% of negative cases. Reporters were found to have practiced anonymous reporting at a higher than expected rate with regard to citations of informents in the process of reporting. About 4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more than 6 out of 10 people cited anonymously in their articles, and over 95% of the informents' anonymous requests showed that most agree or generally agree. The reason for agreeing was “because of fear of personal threats or unfair disadvantages of informents”, which made up a very high proportion, pointing out the seriousness of not only private companies but also state agencies' institutional information control, disadvantages to internal organization members, and malicious comments on portals. Until now, through comparative studies with foreign media,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ercentage of transparent informents citation in the domestic media is low, but in this study, the anonymous citation rate by field and affiliated organization and the tone of the article were specifically confirmed. In addition, by confirming the practice of anonymous citation through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incumbent reporters that have not been achieved so far, the need for protection of informents and new norm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ocial coverage environment has been raised.

언론의 신뢰도 위기를 놓고 다양한 비판과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저널리즘의 핵심 가치인 객관성과 공정성, 균형성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실명 보도 및 익명 보도 관행에 주목하고, 국내 5대 일간지의 기사 분석과 현직 기자들의 인식도 조사를 통해 익명 보도 관행의 실태와 형성 요인,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전체 취재원 가운데 실명 및 익명 인용 비율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의 8월과 9월 중 평일 사흘치 지면 전체 기사 738건을 분석하였다. 다만 주관적 의견이 반영되는 사설 및 칼럼, 직접 취재가 어려운 국제면은 제외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취재원 가운데 실명 및 익명 인용 비율은 각각 74%와 26%로 나타났고 분야별로는 경제, 사회, 북한 및 통일 분야에서 익명 취재원 비율이 가장 높았다. 취재원별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경제계, 정당 및 국회 등 순으로 익명 인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익명 인용 기사문에서 핵심 내용이 비판과 비난, 공격 등 부정적인 경우가 실명 인용 기사에 비해 10%p 이상 높았다. 이와 함께 사실과 의견의 혼동, 기자 또는 특정인의 의견을 일반화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무주체 피동형 간접인용서술 문장의 빈도를 조사한 결과 기사 한 건당 5개 이상 등장하는 경우가 정치와 북한 및 통일 분야에서 가장 많았으며 특히 검찰발 수사 속보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해당 문장이 포함된 기사의 내용은 부정적인 경우가 과반인 50.6%에 이르렀다. 기자들은 취재 및 보도 과정에서 취재원 인용과 관련해 예상보다 높은 비율로 익명 보도를 관행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자신이 작성한 기사에서 취재원을 익명으로 인용한 경우가 전체 10명 중 6명 이상이라는 응답이 약 44%였고 취재원의 익명 요구에는 무려 95%를 넘는 비율로 대부분 동의하거나 대체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하는 이유로는 ‘취재원의 신변 위협이나 부당한 불이익을 우려해서’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해 민간 기업은 물론 국가기관의 제도적 정보 통제와 내부 조직원에 대한 불이익, 포털 등에서 악성 댓글 등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그동안 해외 언론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국내 언론의 투명 취재원 인용 비율이 낮다는 점은 확인되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분야별, 소속 기관별 익명 인용 비율과 기사문의 논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이뤄지지 않았던 현직 기자들의 인식도 조사를 통해 익명 인용 관행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인 취재 환경 변화에 따른 취재원 보호와 새로운 규범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21010
형태사항 iii, 58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u-Hee Yu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uk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5-5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