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기업-국민 간 인식차이와 시사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focusing on th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companies and people and its implications
서명 / 저자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기업-국민 간 인식차이와 시사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focusing on th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companies and people and its implications / 신은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95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21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verify if there is a mismatch(discrepancy) between the perspectives of general customers and companies regarding the issues of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deduce conclusions from it. As a methodology for this dissertation,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argeting 200 general customers and 63 employees who take charge of CSR at the five biggest companies in South Korea was implemented. Statistic analysis including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variance analysis, matching samples and T-test, in-depth interview with chief executives for CSR at the five biggest companies in Korea were also used. From this analysis, this dissertation concluded as follows; The discrepancies were found in three aspects. Firstly, the definition of CSR is different for people and private companies. Secondly, they regard the priorities of CSR, differently. Thirdly, there is a disaccord about the measures to improve CSR. These major mismatche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irstly, companies need to redefine CSR, in accordance with people’s perspective. Secondly, performance indicators used at private companies and top-down decision-making process should be improved. Thirdly, obeying the law and ethical management should be reinforced to promote the effects of CSR.

본 연구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민과 기업 간 미스매치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일반인(200명), 5대 그룹 사회공헌 업무 담당자(63명)대상 설문조사, 통계분석(피어슨 상관계수, 분산분석, 대응표본 티검정), 5대 그룹 사회공헌활동의 최고책임자를 심층인터뷰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과 기업 간 미스매치는 3개 부문에서 확인됐다. 첫째, 국민과 기업간 사회공헌활동의 정의가 달랐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의 우선순위 간 미스매치가 확인됐다. 셋째,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에 대해서도 국민과 기업 간 미스매치가 존재했다. 이러한 미스매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했다. 첫째, 기업은 국민관점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재정의해야 한다. 둘째, 기업 내부 성과지표와 탑-다운식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사회공헌 활동 효과증인을 위해서는 준법·윤리경영을 강화해야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21009
형태사항 ⅴ, 46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Eun Jin Shi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광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wang Hyung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5-4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