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군 전력증강의 미래전략 연구 소요기획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future strategy of the ROK military power enhancement -Focused on requirement planning process-
서명 / 저자 한국군 전력증강의 미래전략 연구 소요기획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future strategy of the ROK military power enhancement -Focused on requirement planning process- / 이승훈.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92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2101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National Defens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in 1972 and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national defense forces. Even in the era of crying out for self-defense beyond the time when it was inevitable to rely on US military aid, Korea did not have the basic technology and equipped systems to develop weapons systems. Nevertheless, the nation and the military have made remarkable growth to the extent that they have produced and operated self-made weapons systems ranging from rifles to tanks, missiles, helicopters and ships through great efforts. There have also been many changes in the defens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the process of continuous improvement in the organization and procedures. However, critics say that the current defens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has its limits as a system to renew weapons system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everything changes rapidl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defens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s problems, focusing on the required planning.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key drivers of required planning, the future strategy was established to predict the future of required planning and move forward to the preferred futur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future forecasting method. As a strategy to reach the preferred future, first, Transformation of the Closed Paradigm for Required Planning, second, Benchmarking the system and culture of developed enterprises, and finally, Reorganize the required talent pool to improve its constitution. In addition, five additional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presented.

국방기획관리제도는 1972년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국방전력증강에 매우 큰 역할을 해왔다. 미 군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던 시대적 상황을 지나 자주국방을 외치던 시대에도 한국은 무기체계를 개발할 만한 기반 기술력과 갖추어진 제도를 갖지 못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노력을 통 해 소총에서부터 전차와 미사일, 헬기와 함정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만든 무기체계를 생산, 운용할 정도로 우리 국가와 군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다. 국방기획관리제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조직 및 절차에 대해 지속적인 개선 과정을 거쳐 왔다. 그러나 현 국방기획관리제도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무기체계를 새롭게 만드는 제도로서 한계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기획관리제도 가운데 소요기획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 요기획을 견인하는 핵심동인을 식별하고 분석하여 3차원 미래 예측법을 통해 소요기획의 미래를 예측하고 선호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미래전략을 수립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21019
형태사항 iii, 86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unghoo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재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 Suk Ya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4-8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