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멀티플렉스 극장업의 미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uture image of the multiplex cinema industry in post-corona era
서명 / 저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멀티플렉스 극장업의 미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uture image of the multiplex cinema industry in post-corona era / 정승욱.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92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21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2020 has greatly affected theater operators with 130 years of history. Domestic multiplex operators are suffering, with visitors and sales plunging 70percent year-on-year. We want to explore strategic alternatives to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future theater industry by studying what factors make the future of multiplex operators uncertain and how multiplex operators should change in the face of increased uncertainty. Short-term forecasting and mid-to-long-term future scenario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surveys and STEPPER analyses and the preferred future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space business operators were presented. The situation caused by Corona in 2020 is expected to stabilized and then consumers will return to the theater, but it is necessary to respond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hanges in consumers and the film industry ecosystem. While the existing analysis of multiplex cinemas in the movie industry was centered on the analysis on movie content performance factors, physical features and location analysis in value chain film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dicts the changes in theater ecosystem stakeholders that reflect changes in consumers’ behavior due to corona.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130년 역사의 극장사업자는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관람객과 매출액은 전년대비 70% 수준이 급감하는 등 국내 멀티플렉스 사업자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멀티플렉스 사업자의 미래를 불확실하게 만드는 요인은 무엇인지,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멀티플렉스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연구하여 미래 극장업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전략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STEPPER분석을 통해 단기 미래예측 및 중장기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고 공간사업자로서 선호하는 미래상과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 2020년도 코로나가 야기한 상황은 안정화된 이후 다시 극장으로 관객은 복귀할 것으로 보이나, 소비자와 영화산업 생태계의 변화 움직임을 분석하여 미래 대응이 필요하다. 기존 영화산업 및 멀티플렉스 영화관 분석은 밸류체인상 영화제작, 배급, 상영을 중심으로 영화 콘텐츠 성과요인 분석 및 극장의 상권, 입지분석에 중심이 있었다면, 금번 연구는 코로나로 인해 변화되는 소비자의 행태변화를 반영한 극장생태계 이해관계자의 변화를 예측하여 바람직한 극장의 미래모습과 전략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21015
형태사항 ⅳ, 38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ungwook J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서용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ngseok Seo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37-3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