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대 형성에 관한 연구 -시기효과(Period effect)를 중심으로- = Theoretical study on the formation of generation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the period effect-
서명 / 저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대 형성에 관한 연구 -시기효과(Period effect)를 중심으로- = Theoretical study on the formation of generation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the period effect- / 박은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91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21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February 2020, even a year aft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cided to name the new coronavirus'COVID-19', the 'pandemic' situation still persists. As the pandemic has an impact regardless of region, religion, age, or gender, a major change is expected in Koreans' perceptions, values, and behavior pattern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iod effect” of COVID-19 and is expected to have a strong impact on all generations. It is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emphasized the influence of adolescence (ages 17-26). In the survey to examine changes in value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values related to COVID-19, such as social order and discipline, group dependency in decision making, awareness of infectious disease concerns, and safety. Tems with significant changes in values were united in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here was little or no gap between generations, resulting in homogeneous values. Considering the large change in values and the large decrease in the gap between generations in the technology field, “technology” is viewed as a key driver of social change. Contrary to the general idea that the heterogeneity of values would have become rather serious, the gap between generations has narrowed, except in the political field.

2020년 2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에 대한 이름을 ‘COVID-19’로 짓기로 결정한 지 일년이 되어가는 시점에도 여전히 ‘팬데믹(pandemic; 전염병의 대유행)’상황은 지속되고 있다. 팬데믹은 지역, 종교, 연령, 성별을 불문하고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한국인들의 인식, 가치관, 행위양식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는 COVID-19의 ‘시기효과(Period effect)’에 주목하여 전 세대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기존 연구가 청소년기(17~26세)의 영향력을 강조했던 것과는 구별이 된다. COVID-19 전후의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설문조사에서는 사회 질서와 규율성, 의사결정시 집단종속성, 감염병 우려에 대한 인식, 안전성 등 COVID-19와 관련된 항목에서 가치관의 큰 변화가 있었다. 가치관이 크게 변화한 항목은 변화의 방향에 합일을 이루었고 세대별 격차가 거의 없거나 줄어들어 가치관이 균질화되었다. 기술 분야에서 가치관의 큰 변화와 세대별 격차규모의 큰 감소를 감안하면 ‘기술’을 사회변동의 핵심동인으로 본다. 가치관의 이질성이 오히려 심각해졌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다르게 정치 분야를 제외하고는 세대 간 격차가 줄어들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21010
형태사항 vi, 82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Eun-Joo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서용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ng-Seok Seo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3-8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