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노동시장 유연성과 일자리 관계 실증연구 = New empirical evidence from South Korea on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employment
서명 / 저자 노동시장 유연성과 일자리 관계 실증연구 = New empirical evidence from South Korea on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employment / 윤현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90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21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Labor market flexibility can be divided into wage flexibility and employment flexibility. Flexibility works through wage, which is the price variable of labor, and the numeric variable, namely, the adjustment of labor capacity. It is also known that reducing labor market flexibilit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Recently, the government is pursuing the full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to regular workers, which is expected to reduce labor flexibility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public sector, wage flexibility and employment flexibility are low, therefore there is also a great concern over the long-term cost burden expected to incur in the future due to the transition to regular workers and the burden of manpower structure management.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that the reduction in labor flexibility will intensify the problem of reduction in jobs for young and female workers and consequently inflation of education.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policy goals of improving the treatment of non-regular workers and expanding employment security and the policy measures for thi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policy on measures for non-regular workers initiated in 2013 was investigated by using human resources data from 2011-2019 research institut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are classified as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in the case of regular workers, which is the primary labor market, the effect of measures for non-regular worker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n the case of non-regular workers, which the secondary labor marke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jobs for low-skilled workers, youth, and female workers decreased further due to the reduction of non-regular workers and promotion of the policy to convert to regular workers. In the current labor market, which is divided into the primary labor market and the secondary labor marke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policies for jobs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where human capital is insufficient.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임금 유연성과 고용 유연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연성은 노동의 가격변수인 임금과 수량변수인 고용량의 조정을 통해 작동된다. 또한 노동시장 유연성 축소는 실업률 증가를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정부는 공공부분 비정규직에 대해 전면적으로 정규직 또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을 추진중으로 이에 따라 공공부분 노동유연성 축소가 예상된다. 하지만 공공부분의 경우 임금 유연성과 고용 유연성이 낮아 정규직 전환에 따른 미래 장기적으로 발생이 예상되는 비용 부담과 인력구조 관리 부담에 대한 우려 또한 큰 상황이다. 또한 노동유연성 축소는 장기적으로 청년·여성인력의 일자리 감소 및 그에 따른 학력 인플레이션 문제를 심화시킬 것이다는 의견도 상존한다. 정부의 비정규직 처우개선 및 고용안정성 확대라는 정책목표와 이를 위한 정책수단이 어떤 정책효과를 나타내는지 실증이 필요한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공기관으로 분류되어 있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구기관의 2011년~2019년 인력자료를 활용하여 2013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비정규직 대책에 대한 정책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1차 노동시장인 정규직 일자리의 경우 비정규직 대책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았으나, 2차 노동시장인 비정규직의 경우 비정규직 일자리 축소 및 정규직 전환 정책 추진으로 저숙련근로자, 청년, 여성인력의 일자리가 보다 많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차 노동시장과 2차 노동시장으로 이중화된 노동시장에서 인적자본 확보가 충분치 않은 2차 노동시장 일자리에 대한 정책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21001
형태사항 iii, 2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yun-Soo Yo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재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Suk Ya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4-2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