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mage encryption techniques to prevent image recapture on polarized 3D system = 이미지 재촬영 방지를 위한 편광 3D 시스템 기반의 이미지 암호화 기법
서명 / 저자 Image encryption techniques to prevent image recapture on polarized 3D system = 이미지 재촬영 방지를 위한 편광 3D 시스템 기반의 이미지 암호화 기법 / Sang-Keun J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87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CS 20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mage recapture is a simple method to illegally leak digital content, but it is also a challenging method to prevent. With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gital devices, anyone can easily obtain high-quality recaptured content using photographic devices. Because the copyright of the content cannot be protected if the recaptured content is illegally leaked over the Internet, a copyright protection technique is needed to protect content from image recapture.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n image encryption technique to prevent image recapture on a polarized 3D system. The proposed technique consists of two image encryption techniques to prevent the recapture of binary and color images according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technique is bas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polarized 3D system with line interlacing properties to simultaneously obtain the concealment and visibility of the image, which is a requirement for image recapture prevention. The secret image to be protected from recapture is encrypted using the proposed image encryption technique and is decrypted using polarized glasses. Information about the secret image cannot be extracted from the encrypted image recaptured from the display. In addition, the viewing authority of the content can be controlled using polarized glasses, allowing restricted viewing of the secret image or selective viewing of the both secret and public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can statistically and visually conceal the secret image. Therefore, the proposed image encryption technique can prevent illegal content leakage from image recapture and can be used as a secure display scheme.

이미지 재촬영은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 유출하는 간단하면서 동시에 막기 어려운 방법이다. 디지털 기기의 발전과 보급으로 누구나 쉽게 디지털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고화질의 재촬영된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재촬영된 콘텐츠가 인터넷을 통해 불법 유출되면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없으므로, 이미지 재촬영으로부터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재촬영 방지를 위한 편광 3D 시스템 기반의 이미지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콘텐츠 특성에 따라 바이너리 이미지와 컬러 이미지의 재촬영 방지를 위한 두 가지 이미지 암호화 기법으로 구성되며, 이미지 재촬영 방지의 요구조건인 이미지의 은닉성과 가시성을 동시에 획득하기 위해 라인 인터레이싱 특성을 가지는 상용화된 편광 3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재촬영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비밀 영상은 제안하는 이미지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되고 편광 안경을 통해 복호화된다. 제안 기법은 비밀 영상을 픽셀 단위로 은닉하므로 암호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으로부터 재촬영한 영상에서 비밀 영상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없다. 또한, 비밀 영상의 제한적 시청 또는 비밀 영상과 공공 영상의 선택적 시청과 같이 편광 안경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시청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기법이 비밀 영상을 통계적이고 시각적으로 은닉하여 이미지 재촬영으로 인한 콘텐츠의 불법 유출을 막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안하는 이미지 암호화 기법은 이미지 재촬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청 권한을 제어하는 보안 디스플레이 기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CS 20028
형태사항 vii, 8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지상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eung-Kyu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흥규
수록잡지명 : "Image Recapture Prevention Using Secure Display Schemes on Polarized 3D System".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29.issue.8, pp.2296-2309(2019)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76-8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