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미중 무역 분쟁 중 국가 CDS 프리미엄과 한국 채권 시장 유동성 그리고 트럼프 트위터 사이의 시계열 모형 분석 = Time series analysis among Sovereign CDS premium, Korean bond market liquidity and Trump tweets
서명 / 저자 미중 무역 분쟁 중 국가 CDS 프리미엄과 한국 채권 시장 유동성 그리고 트럼프 트위터 사이의 시계열 모형 분석 = Time series analysis among Sovereign CDS premium, Korean bond market liquidity and Trump tweets / 이다함.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71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E 20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48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E 20028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ne of the most affected countries from US China Trade War is Korea. As Korean stock market dropped severely right after US or China imposed tariffs on their imports, Korea market is exposed to US China Trade war risk.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liquidity of Korea Treasury bond and sovereign CDS premium with time series model. Most of papers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CDS premium and tangible data such as Market Indices or Bond Yields during the big events like 2008 financial crisis. However, to see more causal effect we need to consider liquidity. Also, Trump’s tweet is important in global market these days so that we would see effects of Trump’s tweet with Sentiment Analysis.

미중 무역 분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국가 중 하나가 대한민국이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부과 발표가 일어나면 한국 증시는 그 다음날 바로 타격을 받을 정도로 미중 무역 분쟁은 국내 증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중 무역 분쟁 중 국가 신용도를 대표하는 국가 CDS 프리미엄과 국채의 유동성 사이의 시계열 분석을 하여 둘 사이의 관계를 모형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대부분의 논문은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대외적인 큰 이벤트 발생 시 코스피 지수 또는 채권 금리와 같은 명시된 값들과 CDS 프리미엄과의 관계를 분석했지만 좀 더 명확한 시계열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유동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국제 정세에서 트럼프의 트위터가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트위터의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을 통해서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E 20028
형태사항 iii, 3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aham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동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onggyu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