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질감 분석을 활용한 전통 산수화 준법의 정량적 연구 : 겸재 정선의 화풍 변화 분석 = (A) quantitative study of brushstroke techniques in traditional east Asian landscape painting using texture analysis : exploring Jeong Seon's paintings
서명 / 저자 질감 분석을 활용한 전통 산수화 준법의 정량적 연구 : 겸재 정선의 화풍 변화 분석 = (A) quantitative study of brushstroke techniques in traditional east Asian landscape painting using texture analysis : exploring Jeong Seon's paintings / 전지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59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20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igital technologies have become new methods for art historical research. This allows art historians to explore artworks more closely with objective interpretation. However, existing methods to analyze paintings are still conducted by experts with their art historical background and experiences. Additionally, although there is an increase in efforts to analyze paintings through scientific methods, chances are limited to Western paintings. Therefore, we are in need of applying a new technical approach designed for Eastern art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s a new technological approach to reveal one artist's style by analyzing brush techniques (Cunfa) in Traditional East Asian paintings. Following is one of the case research o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of the most renowned painter of Choseon Dynasty, Gyeomjae Jeong Seon (겸재 정선, 謙齋 鄭敾, 1676- 1759). His brushstroke techniques were not created from the beginning of his artistic life, so that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how he explored and developed unique techniques for the scenic express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out the meanings and changes in his main six brush techniques: Sharp-frost stroke, Vertical stroke, Hemp-fiber stroke, Axe-cut stroke, Rubbed stroke, and Mi-dot stroke. So-called “Cun fa (준법, 皴法)” has wrinkles on mountains or stones, so we apply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GLCM) to analyze each texture's characteristics by calculating Contrast, Energy, Entropy, and Homogeneity feature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 style of work in certain periods. Specifically, in the late period of his life, there was a peak after a change that we found a downfall in Contrast and Entropy and the rise in Energy and Homogeneity, which means that his styles became abstract. Final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in the East Asian art history for the cultural heritage domain.

디지털 기술은 미술사 학계에서 또 하나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들과 예술 작품 사이의 거리를 좁혀 작품을 보다 정밀하고 객관적인 관찰을 허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회화 분석 연구는 여전히 상당한 안목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회화 분석 기술에 있어서도 주로 서양 회화 중심으로 치우쳐 있어 동양 회화의 특성을 추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양 회화의 특성을 이해하여 적절한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미술사 연구의 방법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질감 (Texture) 분석 기술인 명암도 동시 발생 행렬인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GLCM) 을 활용하여 동양의 전통 산수화 붓 터치 기법인 준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한 화가의 화풍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의 대상은 조선 시대의 최고의 화가로 꼽히는 겸재 정선 (謙齋 鄭敾, 1676-1759) 이다. 그는 기존의 중국의 화풍에서 점차 벗어나 독창적인 진경산수 화풍을 구축하였고, 특히 붓 터치 기법인 준법 (Cunfa) 을 통해 우리나라만의 산천을 묘사하였기에 연구에 의의가 있다. 준법이 산이나 돌에서 나타나는 주름의 질감을 나타내는 기법임을 고려하여 실험에서는 정선이 주로 사용한 준법인 상악준, 수직준, 피마준, 부벽준, 쇄찰준, 미점준을 중심으로 2차 통계치인 Contrast, Energy, Entropy, Homogeneity의 특징 값을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과연 정선이 자신만의 화풍 구축을 위해 의미 있는 변화를 이루어 왔는지 분석하였고, 그 결과 시기별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차이로 변화하는 경향성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변화 이후 최정점을 찍은 후기를 기준으로 초기에 비해 대비 (Contrast) 와 엔트로피 (Entropy) 의 하향, 에너지 (Energy) 와 동질성 (Homogeneity) 의 상승을 통해 점차 ‘추상 세계’를 위한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였음을 알아냈다. 또한, 동일 소재별 분석을 통해서도 준법의 쓰임이 변화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미술사 연구의 주관적 해석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결과를 도출하여 하나의 문화재 영역으로써 전통 산수화의 분석을 위한 예술과 기술 융합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0021
형태사항 iv, 97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 Young Ju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안재홍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hong Ahn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95-9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