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user study on content-based visual music thumbnailing = 콘텐츠 기반 음악 썸네일링 시각화에 관한 사용자 연구
서명 / 저자 A user study on content-based visual music thumbnailing = 콘텐츠 기반 음악 썸네일링 시각화에 관한 사용자 연구 / Taewa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59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20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usic search by nature does not allow users to grasp items of interest at a glance unlike image search. Fast and efficient music search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active listeners or content creators in the media industry who use music as part of the media production. To this end, we propose a type of visual music thumbnail, Content-based Visual Music Thumbnailing, that allows users to search and browse music tracks with visual cues, and conduct a user study to verify the proposed concept. We first present the focus group interviews to draw out important musical attributes for music search and then map the attributes to graphic components to generate the thumbnail image of a music track. We validate the proposed visual music thumbnail on a web-based survey system that compares the thumbnail-based interface to the conventional text-based interface. The system measures the number of clicks, rank score, and completion time while the participants are conducting given music search tasks. The results show that the visual music thumbnail-based interface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text-based interface in the measured metrics.

음악 검색은 이미지 검색과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없다. 미디어 업계 종사자나 컨텐츠 크리에이터와 같이 음악을 적극적으로 검색해야 하는 사용자들에게 효율적, 효과적인 음악 검색은 특히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하여 음악을 검색하고 탐색할 수 있는 컨텐츠 기반 음악 썸네일링 시각화를 제안하고, 제안된 개념을 검증하기 위한 사용자 연구를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 중심 방법론 중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타겟 유저의 음악 검색에 중요한 음악적 속성을 도출한 후 시각화 구성 요소에 음악 속성을 매핑하여 음악 트랙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안한 썸네일 방법으로 웹 기반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후 썸네일 기반 인터페이스와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한다. 이 시스템은 참가자들이 주어진 음악 검색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곡 재생횟수(클릭 수), 제출된 답의 점수 및 작업 완료 시간을 측정한다. 그 결과, 컨텐츠 기반 음악 썸네일 인터페이스가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0016
형태사항 iv, 2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태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han Na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남주한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5-2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