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rban vitality: Effects of land use and urban form on transit-oriented mobility and activity = 도시활력: 대중교통중심 이동 및 활동에 대한 토지이용과 도시형태의 영향
서명 / 저자 Urban vitality: Effects of land use and urban form on transit-oriented mobility and activity = 도시활력: 대중교통중심 이동 및 활동에 대한 토지이용과 도시형태의 영향 / Suji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32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T 20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dissertation aimed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urban vitality. The city of Seoul in South Korea was tes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it-oriented urban mobility, urban activity, land use, and urban form through a data-driven approach. The analyses in this dissertation were conducted over three steps. The first analysis validate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oriented urban mobility and urban activity, from the geographical and temporal perspectives. The second analysis grouped the subway stations based on the similarity in temporal profiles of ridership using clustering analysi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land use and urban form on temporally different trajectories and volumes of ridership using trajectory modeling. In the last analysis, the author defined the reasonable areal unit to analyze urban activity from the urban vitality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influential attributes of land use and urban form for vibrant activity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ing. The outcomes of these analyses offer a chance to understand the current urban structure and the requirements for creating vibrant environments in c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ity has a severed structure by regional functions, but the dense, widespread transit network supports to sustain vibrant citizens’ mobilities and activities at the city level as it reduces the auto-dependency of citizens. At the neighborhood level, the results verify that transit- and walking-friendly environments encourage a vibrant community, which involves the well-connected streets, small block size, and small plot size.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of activity indicates that the residential use should be placed in balance with the neighborhood commercial, education, and welfare uses. The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can provide the fields of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with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creating a vibrant and sustainable city and also improving the quality of citizens’ daily lives.

본 논문은 도시활력을 증진시키는 도시환경요인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람들의 대중교통중심 이동 및 활동과 토지이용, 도시형태 간의 관계를 데이터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을 대상으로 첫 번째 단계로 대중교통중심 이동과 도시 내 활동의 관계성을 검토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대중교통 이용량을 유사성 기반으로 분류하고, 궤적모델링을 이용하여 도시환경요인이 각 분류된 집단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도시활력 관점에서 활동정도를 평가하기위한 공간적 분석단위를 정의하고 공간모델링을 이용하여 활동에 영향을 주는 도시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시내 주거, 업무와 같은 기능들이 공간적으로 단절되어 있지만, 밀도 높은 대중교통망이 자동차의존성을 낮추고 활력높은 도시환경을 유지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도시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행 및 대중교통 친화적인 환경을 필수적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교통 및 도시 계획 관점에서 도시활력에 영향을 주는 도시환경적 요소들을 이동성과 활동성에 기반하여 분석한 것으로서 도시활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도시를 향한 정책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T 20004
형태사항 vi, 15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수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tae J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기태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26-13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