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o-design approaches to inclusive policy agenda setting through autogenous civic engagement with a focus on the unengaged: Shy attenders, lone whiners and I-Don't-Carers = 자기발생적 시민참여를 통한 정책의제의 포용성 증진을 위한 공동디자인 소외된 타겟 그룹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Co-design approaches to inclusive policy agenda setting through autogenous civic engagement with a focus on the unengaged: Shy attenders, lone whiners and I-Don't-Carers = 자기발생적 시민참여를 통한 정책의제의 포용성 증진을 위한 공동디자인 소외된 타겟 그룹을 중심으로 / Cho-Ro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629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20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Co-design is considered an effective tool for engaging citizens in policy processes to reflect their situations and perspectives on setting a policy agenda. However, current approaches mostly target a few active citizens. Other citizens are still marginalized or play limited roles in responding to given policy issues. For inclusive policy agenda setting, this research proposes co-design approaches triggering autogenous engagement so that passive citizens can also present meaningful policy resources based on their original intentions and interest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ree target groups who are not currently engaged in policy agenda setting processes were defined: the Shy Attender, the Lone Whiner, and the I-Don’t-Carer groups. In the main empirical studies, co-design methods tailored to the target group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in the context of local youth policy development in Yuseong District, Daejeon City, South Korea. First, a policy puzzle game was developed to engage the Shy Attender group in developing policy ideas. The gamified rules for feasible and acceptable ideas enabled the target group and other expert/activist participants to exercise their own expertise for an in-depth valuation of proposed ideas. Second, a co-storytelling method was developed to engage the Lone Whiner group in defining policy problems based on their own dreams and concerns. Joyful meddling through creating fictional adversities for one another enabled the target group to elevate their personal problems to the collective,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s. Third, an incidental life posting method was developed to engage the I-Don’t-Carer group in mining their policy needs on social media platforms. Playful grumbles through sharing daily life content enabled the target group to build empathy and manifest their collective needs. Finally, a local hero nurturing game was developed to carry the most apathetic individuals in the I-Don’t-Carer group through the policy idea stage. The tiling interface and hero’s narrative enabled them to integrate individual needs into a shared value and mobilize their local knowledge for feasible and compact solution ideas. Synthesizing the major findings, a model of autogenous civic engagement for policy agenda setting was constructed, and co-design utiliz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공동디자인 (Co-design) 은 시민들이 정책 개발에 자신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참여 도구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시도 대부분은 정책에 관심이 있거나 자신의 의견을 대중에게 표현할 의사가 있는 적극적인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정책 참여에 소극적인 시민들 역시 그들이 겪는 어려움, 필요와 욕구 등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고, 이를 의미있는 정책 자원으로 다듬을 수 있도록 도와 정책의제의 포용성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정책 참여에서 소외된 소극적인 시민들에게 주목하고 이들의 관심사에 기반하여 각자에게 가장 알맞은 참여 방식을 제안하는 자기 발생적 참여 (autogenous engagement) 를 이끌어낼 수 있는 공동디자인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적용 영역으로서 청년 정책의제 설정 프로세스가 가지는 의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공동디자인 방식이 포괄하지 못하는 소외된 시민들을 파악하여 수줍은 참가자 (Shy Attender), 외로운 투덜이 (Lone Whiner), 관심없어 (I-Don’t-Carer)라는 세 대상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주요 실증 연구에서는 각 대상 그룹을 정책 의제 형성 프로세스에 참여시키기 위한 맞춤형 공동디자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방법을 실제 (대전 유성구 청년 정책 개발) 사례에 적용하고 평가함으로써 각 방법이 대상 그룹의 참여를 촉진하고 의미있는 정책 산출물을 생성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수줍은 참가자 그룹을 해법 아이디어 개발에 참여시키기 위해 균등한 참여를 규칙으로 하는 정책 퍼즐 게임을 개발하였다. 이 게임은 대상 그룹이 단편적인 해법 아이디어를 발산하기 보다는 다른 정책 전문가/활동가 참가자에게 아이디어의 필요성을 설득하여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보다 수용 가능하고 실현 가능한 해법 아이디어가 개발될 수 있다. 외로운 투덜이 그룹을 정책 문제 정의에 참여시키기 위해 개인적인 꿈과 고민으로부터 가상의 역경을 창작하는 공동 스토리텔링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대상 그룹의 자신의 문제를 개인적 바람이나 불만이 아닌 사회 제도적 요인과 관련한 집단적 문제로 다듬을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더 다양한 개인의 문제가 정책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논의될 수 있다. 참여 의사가 거의 없는 관심없어 그룹을 정책 니즈 발굴에 참여시키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통한 일상 공유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대상 그룹이 그동안 표현하지 않았던 자신들의 문제를 특정 그룹의 집단적인 필요로 제시하게 했다. 이를 통해 기존 정책이 포괄하지 못했던 집단의 정책 니즈를 발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무관심한 (따라서 현재 정책 참여에서 소외된 시민 대다수에 해당할 확률이 높은) 관심없어 그룹을 해법 아이디어 개발 단계까지 참여시키기 위하여 앞선 세 방법의 주요 효과를 적용한 압축된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의 캐릭터에게 개인의 미션과 능력을 나누어줄 수 있는 지역 영웅 양성 게임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 결과 비교적 더 적극적인 다른 대상 그룹만큼 정제된 형태는 아니지만 이들 역시, 개인의 니즈를 통합하여 지역 공동체를 위한 공동의 가치를 정의하거나 특정 해법 아이디어를 정부 사업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 자원을 제안함으로써 정책 문제를 정의하거나 해법 아이디어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발견점을 종합하여 정책의제 설정에서 소외된 시민들의 참여 의사 및 장벽에 맞춤화된 공동디자인 방법과 각 방법 별 정책 산출물의 유형을 제시하는 자기 발생적 시민 참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에 기반하여 정책의제 설정 프로세스에서의 시민 참여의 단계 별 목적에 따라 적절한 시민 참가자 및 디자이너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공동디자인 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 참여에 무관심하거나 소외된 시민들이 각자의 관심사에 기반하여 스스로 정책의제 설정을 위한 자신의 의견을 낼 수 있도록 돕는 공동디자인 활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존 방식으로는 포괄하기 힘들었던 소외된 시민들의 니즈, 문제,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정책의제의 포용성을 높이는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20004
형태사항 vii, 16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초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Young Na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남기영
수록잡지명 : "The Paradox of the Excluded Majority in Youth Policy Design". dmi: Review, v.30.no.3, pp.14-21(2019)
수록잡지명 : "Policymaking and the Design Workshop: A New Business Direction". dmi: Review, v.28.no.4, pp.14-20(2017)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47-16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