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절대거리 측정을 위한 회절 광신호 주사장치 = Diffractive beam scanner for absolute distance measurement
서명 / 저자 절대거리 측정을 위한 회절 광신호 주사장치 = Diffractive beam scanner for absolute distance measurement / 장재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596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2005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Beam scanner is required for the precision laser machining and the laser tracking system to steer the optical path. In the conventional way, it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 of diffraction optical element (DOE) and laser scanner based on Galvano mirror system. The laser beam ahead DOE branches into several measurement channels with certain degree, which is possible to measure the targets simultaneously, and their references of measurement are the same but the splitting angle of laser beam is fixed so it is unable to measure if the target has displacement along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 Laser scanner using mirrors has the advantage of changeable optical path of laser beam in real time that is able to measure the moving target, but it has also disadvantages of time-sharing measurement for the multiple targets and measurement error due to ambiguous reference of measurement and no coincide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of mirror and the point reflection occurs. In this work, we propose the new method for beam scanning using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Beam scanning is demonstrated by pixelated binary diffraction grating. The quantitative specification of beam scanning is calculated through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al validation is performed. Moreover, the potential of diffractive beam scanner to be applied to absolute distance measurement is demonstrated.

정밀 레이저 가공을 위한 레이저 빔 스캐닝 및 정밀 레이저 측정을 위한 타겟 추적 시스템은 광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해 정밀 빔 주사 장치가 필요하다. 기존의 빔 주사는 크게 회절광학소자와 회전 거울 기반의 레이저 스캐너로 구현되어 왔다. 회절광학소자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특정 각도로 분기할 수 있어 여러 대상으로 빔을 분기/주사 할 수 있지만, 소자 내의 격자 패턴이 고정되어 있어 빔의 분할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다. 회전 거울 기반의 레이저 스캐너는 거울의 회전 및 반사를 이용하여 빔을 주사하는 장치로, 기계적 구동에 의해 매우 넓은 범위를 주사 시킬 수 있으나 레이저가 반사되는 지점과 거울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빔 포인팅 에러가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빔 주사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를 이용하여 회절 기반의 광신호 주사 장치를 구현하였다. DMD는 마이크로 크기의 거울이 수 십만 개로 배열되어 있고 각 거울의 on-off 상태 전환이 가능하며, 거울의 패턴을 조절하여 회절 격자를 능동적으로 생성해 빔을 원하는 각도로 주사할 수 있다. 빔을 주사 시키기 위해 픽셀화 이진회절격자(Pixelated binary diffraction grating)방식을 이용하였고, 빔 주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절대거리 측정에 적용함으로써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20056
형태사항 v, 50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aeyoung J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승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eung-Woo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7-4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