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망막 혈관의 혈류속도 이미징을 위한 하이브리드 빔 스캐닝 방식의 정량적 광간섭단층혈관영상 이미징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hybrid-beam scanning based retinal quantita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서명 / 저자 망막 혈관의 혈류속도 이미징을 위한 하이브리드 빔 스캐닝 방식의 정량적 광간섭단층혈관영상 이미징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hybrid-beam scanning based retinal quantita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 김경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591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20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t is very important to observe the retinal vascular structure and blood flow velocity because most of the diseases occurring in the retina in the eye are related to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velocity of the blood vessels in the retina. The optical coherent tomographic angiographic(OCTA) imaging is a device that can image the microstructure and microvascular structure of the retina in vivo, and is used as a golden standard device in the ophthalmology.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quantitative analysis of vascular structures in vivo imaging technology is also being studied.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n OCTA system that quantitatively measures a wide range of blood flow velocities in the retinal blood vessels. To do this, a wide range of blood flow velocities can be measured using single beam scanning and dual beam scanning, and quantitative expression of blood flow velocity is expressed using decorrelation coefficient already used in the ophthalmic area. In addition, real-time decorrelation detection algorithms allow optimization of de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ybrid-beam scanning.

안구 내 망막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대부분은 그 기전에서 망막 내 혈관 구조 및 속도의 변화가 관련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망막의 혈관 구조 및 혈류 속도를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광간섭단층혈관영상 이미징은 망막의 미세구조 및 미세혈관구조를 in-vivo로 이미징 할 수 있는 기기로써 안과에서 표준기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기술발전에 따라 생체 내 혈관 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상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내 혈관에서 넓은 범위의 혈류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광간섭단층혈관영상 이미징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단일 빔 스캐닝 및 이중 빔 스캐닝을 이용하여 넓은 범위의 혈류 속도 측정이 가능하며 혈류 속도의 정량적 표현을 이미 안과 영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표현할 것이다. 또 실시간 비 상관계수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하이브리드 빔 스캐닝 사이의 비 상관계수의 최적화를 이룰 계획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20009
형태사항 v, 52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Gyounghwa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오왕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angyuhl Oh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1-5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