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Latecomers' catch-up strategy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 case of Korea = 후발국의 바이오제약산업 추격 전략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Latecomers' catch-up strategy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 case of Korea = 후발국의 바이오제약산업 추격 전략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Eun-Yeong Se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550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BTM 20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Korean biopharmaceutical firms, the latecomers in a long-cycle industry, are producing innovative outcomes of developing and out-licensing new drug candidates. It challenges the notion that latecomers achieve catch-up mostly the industries with shorter technology cycle.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phenomenon and illustrates the latecomers’ catch-up and innovation strategies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 poses the following question: How can the latecomer firms achieve innovation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The research examines the case of the Korean biopharmaceutical industry with a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perspective. Three empirical analyses explore the key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 knowledge and technologies, actors and their networks, and institutional design.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biopharmaceutical firms have built technology capabilities in the area of clinical research. The intensity of clinical resear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curve and out-licensing performances. The analyses also show that Korean biopharmaceutical firms have leveraged domestic hospitals to acquire the requisite knowledge. As for the knowledge utilisation network, the firms use final product knowledge via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hile utilising a domestic network to acquire knowledge of research in progress and collaborate for new product development. Lastly, the analyses also illuminate that institutional design is a critical factor. The sequential implementation of patent and clinical trial policies positively affects the innovation process. These findings are contrasting from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innovation studies which highlight the basic research capability leveraging the network with foreign universities and the simple introduction of patent regulations. This research makes contributions in three aspects. First, it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latecomers can catch up in a long-cycle industry. Second, it provides strategic direction for latecomer biopharmaceutical firms to leverage local infrastructure rather than use the follower strategy. Third, it has a technology policy implication that priority setting is important for promoting domestic industry development.

기술 수명 주기가 긴 바이오 제약산업에서 후발국인 한국의 바이오제약기업들이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고 해외 기술 수출 계약을 맺는 등 혁신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후발국이 주로 기술 수명 주기가 짧은 산업에서 기술 추격을 달성한다는 인식에 대치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위 사례를 통해 후발국 기업은 바이오 제약 기업에서 어떻게 혁신을 달성하였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산업혁신체제 관점에서 한국 바이오 제약산업의 지식과 기술 학습, 주체와 네트워크, 제도적 설계 등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여 후발국의 바이오제약산업 추격 및 혁신 전략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한국 바이오제약 기업들은 응용 연구에 해당하는 임상 연구 분야에서 기술 역량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에 특화한 연구개발 활동에서 학습 곡선이 존재할 수 있으며 라이선스 아웃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발견했다. 또한 한국 바이오 제약기업들은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국내 병원과의 공동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제품에 대한 지식은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확보했으나, 개발 단계에 있는 지식의 확보 및 품 개발 협력에 대해서는 국내 협력을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설계 역시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정책과 임상 규정 정책의 순차적 도입이 혁신 프로세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 결과들은 기초 연구 역량과 이를 위한 해외 대학 네트워크, 물질 특허 규정의 도입을 강조한 기존의 다국적 기업 연구와 반대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여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먼저 기술 수명 주기가 긴 산업에서 후발국 기업이 기술 추격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여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또한 후발국 바이오 제약 기업들이 추종자(follower) 전략을 따르는 대신 자국 인프라를 활용하도록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기술 정책 측면에서 국내 산업 발전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에 대해 함의점을 제공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BTM 20003
형태사항 v, 238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서은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Yong Cho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용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183-201
QR CODE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