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o encourage R&D cooperation and strategy for spontaneous cooperation = R&D 협력 장려 정책의 효과성 분석 및 자발적인 협력을 위한 전략
서명 / 저자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o encourage R&D cooperation and strategy for spontaneous cooperation = R&D 협력 장려 정책의 효과성 분석 및 자발적인 협력을 위한 전략 / Joowoong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544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FS 20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degree of the response and adaptation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ecame a measure of a country’s competitiveness. Thus, the government is investing heavily in R&D for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ffective results of government-led R&D policies, several governments, including South Korea and Germany, are emphasizing open innovation.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R&D cooperation and performance was examined before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R&D policy. Next, the effect on performances was analyzed by classifying R&D cooperation as spontaneity to observe the effects of government’s policy to encourage R&D cooperation. Lastly, a reward strategy for improving intrinsic motivation to increase spontaneous R&D cooperation was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R&D cooper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but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increasing cooperation is not always desirable and R&D cooperation may b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goals. Second, types of R&D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spontaneous and nonspontaneous R&D cooperation and independent R&D - and each was compared to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showed that spontaneous R&D performed better than nonspontaneous R&D cooperation, and nonspontaneous R&D coope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erformance from independent R&D. Furthermore, nonspontaneous R&D cooperation underperformed compared to spontaneous R&D cooperation and independent R&D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R&D cooperation caused by the mandatory policy of R&D cooperation was not positive on both financial and technological outcomes. Third, performance-contingent rewards increased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self-efficacy, and the effect on self-effica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standard. The performance standard did not caus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receiving rewards, but in the case of non-reward, the self-efficacy under relative standard was much lower than absolute and ambiguous performance standards. This infers that the use of relative standards in R&D support is not recommended in terms of intrinsic motivation or spontaneous cooper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ffectively establish a cooperative policy after clarifying the performance goal in advance and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e projection of the micro level theories to the macro level. The policy suggestion is to give SMEs autonomy for R&D cooperation and to use an absolute standard rather than a relative standard.

4차 산업 혁명의 대두와 인공지능 등의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한 대응 및 적응 정도는 한 국가의 경쟁력의 척도가 되었다. 정부주도 R&D 정책의 효과적인 결실을 위해 한국과 독일 등 몇 개의 정부는 개방형 혁신을 강조하며, R&D 지원사업의 전제조건으로 중소기업의 R&D 협력을 강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R&D 관련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전에 R&D 협력의 크기와 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부의 R&D 협력 장려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R&D 협력을 자발성 여부로 구분하여 성과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발적인 협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재적 동기의 향상을 위한 보상 전략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R&D 협력의 증가는 기술 성과에 음(-)의 영향을 주지만 경제 성과에는 양(+)의 영향을 주었다. 즉, 협력의 증가가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며, 성과 목표에 따라 R&D 협력이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었다. 두 번째로, 연구개발의 형태를 자발성 혹은 강제성에 의한 협력연구, 단독 연구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성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자발적인 협력 연구가 강제적인 협력 연구보다 경제 성과가 좋았고, 강제적인 협력 연구와 단독 연구의 경제 성과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강제적인 협력은 자발적인 협력뿐만 아니라 단독 연구보다도 기술 혁신 성과가 낮았다. 이는 강제적인 R&D 협력 장려 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R&D 협력의 경제적 성과와 기술 혁신 성과 모두 긍정적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로, 성과 기반 보상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내재적 동기를 증가시켰고, 성과 기준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의 크기가 달랐다. 보상을 받는 경우는 성과 기준이 유의한 차이를 야기하지 않았지만,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서는 상대적인 성과 기준일 때, 절대적 혹은 모호한 성과 기준보다 자기효능감이 매우 낮았다. 이는 R&D 지원 사업에서 상대적 기준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내재적 동기 혹은 자발적 협력 관점에서 더 좋을 것임을 유추하게 한다. 이 연구의 함의는 R&D 협력을 수행하기 전에 목표 성과를 명확하게 한 후 협력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있으며, 미시 수준의 이론을 거시적 수준으로 투영한 학술적인 함의가 있다. 정책적인 제언으로는 중소기업에게 협력 연구에 대한 자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적 기준보다는 절대적 기준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FS 20001
형태사항 vi, 10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주웅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Suk Y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재석
수록잡지명 : "Moderating Effects of the Timing of Reward Determination and Performance Standards between Rewards and Self-Efficacy for Sustainable Intrinsic Motivation". sustainability, 11, 4619(2019)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86-10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