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industry impact of the emission accounting mechanism in the Korean ETS : a hybrid input-output analysis = 하이브리드 투입산출분석을 활용한 한국 배출권거래제 할당방식의 산업계 영향 연구
서명 / 저자 (The) industry impact of the emission accounting mechanism in the Korean ETS : a hybrid input-output analysis = 하이브리드 투입산출분석을 활용한 한국 배출권거래제 할당방식의 산업계 영향 연구 / Hyo-Ji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517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BPP 17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940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BPP 17007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Unlike other market mechanism, emissions trading scheme is an artificially structured market. Thus, total allowance quantity as well as its allocation mechanism serves a critical role in effective market operation. Current allowance computation mechanism of Korean emission trading scheme(KETS) is based on both direct and indirect emissions of industry sector, which brings concern that this “double counted” cap allowance is likely to damage industry competitiveness. Thu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expected industry impact under current KETS computation versus standard direct emission based computation mechanism by composing hybrid input output account of Korea. The results show industry’s unique emissions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focusing on economy-wide emissions distributional impact. Moreover, scenario analysis allows quantitative representation of industry specific economic burden measured in terms of increase in final product price. This can be a useful reference for KETS policy design currently facing strong industry opposition.

2015년 공식 시행된 한국 배출권 거래제는 배출권 할당 시 직접 배출 뿐만 아니라 간접 배출 역시 할당 대상에 포함하는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중규제” 문제에 대해 산업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에너지원을 물량화 한 하이브리드 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투입산출 분석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산업별 온실가스 직접 및 간접배출 특성을 파악하였다. 특히, 산업별 배출의 경제적 파급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포괄적인 시각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배출권 거래제의 간접배출 이중규제 적용과 미적용시 배출권 거래제 대상 산업들의 영향을 투입산출 분석의 가격모형을 사용하여 시나리오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간 연관관계를 고려했을때의 각 산업별 경제적 부담을 최종 산출물의 가격 상승률이라는 정량적인 수치로 제시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BPP 17007
형태사항 iii, 2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효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yong Eo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엄지용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녹색경영정책프로그램,
서지주기 Including references.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