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tudies on DNA-functionalized diblock copolymers in bulk state = 고체 상태에서 DNA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Studies on DNA-functionalized diblock copolymers in bulk state = 고체 상태에서 DNA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연구 / Young H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92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BE 1904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tudies on self-assembly of block copolymer have been developed for a few decades, in the meantime DNA block copolymers are newly emerging functional hybrid polymers which are known to have less self-assembly structures compared to usual block copolymers. DNA diblock copolymers are block copolymers composed of one block of DNA and the other of polymer. It is well-known to have amphiphilic characteristic and complementary binding properties forming micelles, tubes, and rod like structure. However, self-assembly structures such as lamella or cylinder in DNA block copolymers are not found yet. In this thesis, we report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NA-b-Poly(N-isopropylacrylamide) and characterize unknown morphology or structure changes. We report on self-assembly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changes in bulk state not in solution state. This approach offers new structures of DNA block copolymers.

일반적인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조립 구조에 관한 연구는 오랫동안 진행되어왔지만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 공중합체는 떠오르고 있는 기능성 하이브리드 폴리머로서 두 블록이 고분자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보다는 자가 조립 구조가 다양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 공중합체는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과 폴리머 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친매성과 상보적 특성을 지녀 마이셀, 튜브형, 막대형 등의 자가 조립 구조를 이룰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분자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조립 구조인 라멜라, 실린더 등의 형태 구조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를 합성 및 분석하여 알려진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 공중합체의 자가 조립 구조가 아닌 고분자 블록 공중합체의 모폴리지의 구현 혹은 다른 형태의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 공중합체의 용액에서의 자가 조립이 아닌 벌크 상태에서의 자가 조립 구조 및 물리적 성질의 변화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논문은 디옥시리보 핵산 블록 공중합체의 다른 구조의 발견에 제시를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BE 19045
형태사항 ii, 3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영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heng L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리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화학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32-3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